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작년 무역적자 99억7천만 달러…수출, 전년보다 7.4%↓
상태바
작년 무역적자 99억7천만 달러…수출, 전년보다 7.4%↓
  • 김지원 기자
  • 승인 2024.01.01 13: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년 연속 무역적자…적자규모 2022년 477.8억 달러→2023년 99.7억 달러
대중국·반도체 수출 감소 영향…반도체 2개월 연속·자동차 18개월 연속 수출 증가
부산항 신선대부대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부산항 신선대부대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국은 지난해 99억7,000만 달러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 2022년에 이은 2년 연속 적자다. 다만 지난해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2022년(477억8,000만 달러)에 비해 축소됐다.

작년 12월 수출은 주력인 반도체, 자동차 수출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5.1% 증가하며 3개월 연속 플러스를 이어갔다.

무역수지는 7개월 연속 흑자를 달성하는 등 내년 수출 전망을 밝게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12월 및 연간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지난해 수출은 6,326억9,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7.4% 감소해 2020년 이후 3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글로벌 고금리 기조와 중국의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주력인 반도체 등의 수출이 축소된 탓이다.

수출 효자 품목인 자동차는 수출 호조세를 이어갔고, 일반기계, 선박 등의 수출은 지난해 2분기 이후 플러스 전환했다.

고광효 관세청장이 1일 인천공항 내 수출 화물 통관 현장을 방문해 업무를 점검하고 있다. [관세청 제공]
고광효 관세청장이 1일 인천공항 내 수출 화물 통관 현장을 방문해 업무를 점검하고 있다. [관세청 제공]

이에 따라 전체 수출은 작년 10월부터 증가세로 전환돼 3개월 연속 플러스를 이어갔다.

지난해 수입은 6,426억7,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2.1% 감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무역수지는 99억7,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2년 연속 적자이지만, 2022년에 비해서는 적자 규모를 크게 줄인 것이다.

지난해 수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가 글로벌 수요 감소와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23.7% 감소한 986억3,000만 달러 수출에 그쳤다.

지난해 1분기에 저점을 찍은 반도체 수출은 4분기 들어 메모리반도체 가격 회복 및 수요 개선으로 11월에 증가세로 전환된 뒤 2개월 연속 증가했다.

15개 주요 품목 중에는 자동차, 일반기계, 선박 등 3개 품목의 수출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자동차 수출은 전기차, 스포츠유틸리티차(SUV)와 같은 고부가 차량의 수출 판매 호조로 709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역대 최고였던 지난해(541억 달러)보다 30% 이상 늘었다. 일반기계는 4.6%, 선박은 20.9% 늘었다.

그러나 반도체를 비롯한 컴퓨터(-53.3%), 바이오헬스(-18.0%), 석유제품(-17.0%), 석유화학(-15.9%), 디스플레이(-12.1%), 섬유(-11.2%), 무선통신(-10.2%), 철강(-8.4%), 이차전지(-1.5%), 차부품(-1.5%), 가전(-1.0%) 등 나머지 12개 제품은 수출이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중국으로의 수출이 19.9% 감소하며 1,248억4,000만 달러 규모로 축소됐다. 중국의 경기둔화 등의 영향으로 반도체 등 중간재를 주력으로 하는 수출이 감소한 영향이다.

중국으로의 수출은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 연속 매달 100억 달러를 상회하면서 개선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주요 9대 수출시장 중에는 중국을 비롯해 아세안(-12.5%), 중남미(-7.4%), 일본(-5.1%), 인도(-4.8%) 등 5개 시장으로의 수출이 각각 감소했다.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새해 첫날인 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화물터미널에서 진행된 '새해 첫날 수출현장 방문 행사'에서 선적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새해 첫날인 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화물터미널에서 진행된 '새해 첫날 수출현장 방문 행사'에서 선적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

반면 미국(5.4%↑)과 유럽연합(EU·0.3%↑), 중동(7.3%↑), 독립국가연합(CIS·13.2%↑) 등 4개 시장은 수출이 증가했다.

미국으로의 수출은 자동차, 기계, 이차전지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1천157억달러로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2005년 이후 18년 만에 아세안을 제치고 '2위 수출시장' 지위를 회복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수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8.3%로, 중국(19.7%)에 1.4%포인트 차이로 바짝 다가섰다. 이는 2003년 이후 가장 작은 차이다.

폴란드(14.8%↑)와 아랍에미리트(UAE·11.9%↑), 사우디아라비아(9.4%↑) 등 정상외교가 활발했던 국가로의 수출도 증가했다.

폴란드는 K-방산 수출 호조 영향으로, UAE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등 수출 증가로, 사우디는 자동차와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수주 등으로 각각 수출이 늘었다.

무역수지는 수출의 점진적 개선과 에너지 가격 안정화 등에 따른 수입 감소로 지난해 6월 흑자로 전환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하반기만 놓고 보면 163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한편, 지난해 12월 수출은 576억6,000만 달러로 전년 같은 달 대비 5.1% 증가하며 3개월 연속 플러스를 이어갔다.

주력인 반도체가 110억3,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1.8% 증가하며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고, 자동차(17.9%) 역시 18개월 연속 증가했다. 반도체와 자동차가 12월 수출 플러스를 견인한 셈이다.

반도체와 자동차를 비롯해 선박(47.2%), 디스플레이(10.9%) 등 주요 품목 15개 중 8개의 수출이 증가했고, 컴퓨터(-34.5%), 차부품(-10.8%) 등의 수출은 부진했다.

주요 9대 시장 중에서는 미국(20.8%), 인도(7.0%), 일본(3.7%), 아세안(1.7%) 등으로의 수출은 증가했고, 중국(-2.9%)과 EU(-20.0%), CIS(-12.4%), 중남미(-7.8%), 중동(-0.9%) 등으로의 수출은 감소했다.

특히 대미(對美) 수출이 112억9,000만 달러로, 대중(對中) 수출(108억7천만달러)을 추월하면서 미국은 2003년 6월 이후 20여년 만에 한국의 최대 수출국으로 다시 올라섰다.

작년 12월 수입은 531억8,000만 달러로 10.8% 감소했다. 무역수지는 44억8,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해 작년 6월부터 7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방문규 산업부 장관은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0월 수출 플러스와 무역수지 흑자를 동시에 달성하며 수출 위기를 조기에 극복했다"며 "새해에도 우리 수출이 상승곡선을 그리며 우상향 기조를 확고히 하고, 경제 성장을 이끄는 핵심 견인차가 될 수 있도록 총력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김지원기자
kjw9190@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