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쓰레기를 되살리자” 경기도 ‘쓰레기 제로화’ 선언
상태바
“쓰레기를 되살리자” 경기도 ‘쓰레기 제로화’ 선언
  • 박선식기자
  • 승인 2016.06.02 13: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가 '쓰레기 없는 청정도시 만들기'를 선언했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2일 수원 광교호수공원에서 '자원이 순환하는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경기도 비전'을 발표했다. 

 

  경기도를 자원이 순환하고 쓰레기가 없는 청정지역으로 만들자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수거 후 바로 묻는 생활 쓰레기를 하루 305t에서 0t으로 줄이고, 쓰레기 재활용률을 58%에서 67%로 높이며 사업장 쓰레기 발생량을 1일 1만6천t에서 1만5천t으로 1천t 감축하기로 했다. 

 

  목표 달성을 위해 도내 17개 시군이 공동 사용하는 광역소각장을 현재 7개에서 9개로 늘리고, 수원과 부천 등 노후 소각시설을 대대적으로 개보수할 계획이다. 

 

  또 농촌지역 공동집하장과 우리동네 수거함 등 생활쓰레기 배출체계를 마련해 파주 등 13개 시군에서 우선 시범 시행한다. 

 

  도내 30개 생활자원회수센터 중 자동화되지 않은 22개 센터의 시설을 순차적으로 개선할 방침이다. 

 

  특히 수원 옛 서울대농생대 부지에 추진 중인 광역 업사이클플라자를 올해 착공, 2017년 말 완공하기로 했다. 업사이클플라자는 버려지는 물건에 예술적 가치를 더해 판매하는 시설이다. 공방과 작업장, 전시·판매장, 교육·연구시설 등으로 꾸며지며 사회적 기업이나 청년 창업자 등이 운영한다. 

 

  도는 이밖에 주민 의식 전환을 목표로 하는 자원순환마을을 현재 55곳에서 2020년 110곳으로 늘린다. 

 

  남 지사는 "제로 웨이스트는 경기도민이 함께 참여해 쓰레기를 줄이고, 지구 온난화를 막을 수 있는 생활 속 실천 과제"라며 "경기도가 자원순화사회 전환을 앞당기고 청정 경기도를 만드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 수원과 성남 등 쓰레기소각장을 가진 도내 23개 지자체 시장·군수는 소각장 가동이 어렵거나 수도권매립지 쓰레기 반입이 어려울 때 협력해 쓰레기를 공동 처리하는 '생활폐기물 품앗이 소각' 협약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