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17개 시 도 창조경제 확산 '청신호'
상태바
17개 시 도 창조경제 확산 '청신호'
  • 경북/ 신용대기자,구미/ 최정태기자
  • 승인 2014.09.04 10: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북도는 내달 초 개소할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기업(삼성) 1:1 전담지원 체계가 확정됨에 따라 창조경제 확산과 성과창출을 위해 경북도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고 3일 밝혔다. 지난 2일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창조경제의 실현과 확산을 위해 17개 시도별로 대기업과 1:1 전담 지원체계를 구축을 발표했다. 창조경제 혁신센터와 대기업 간 연계는 해당 기업의 주력분야와 지역연고 해당지역 산업 수요 등을 감안해 전국경제인연합회와 협의해 이뤄졌으며 경북도는 삼성그룹이 지원한다. 지자체 힘만으로는 창조경제의 조기실현과 성과창출에 많은 어려움이 있던 중에 대기업의 적극적인 참여와 노하우가 창조경제 확산과 기술개발과 투자 등 기업생태계에 많은 도움이 예상된다.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가 구축될 경북 구미(혁신산단)는 1969년 구미공단 조성으로 대한민국 근대화 위업을 태동시킨 주역이자 본거지였으나 45년 세월동안 공단의 노후화와 대기업공장 이전 등으로 새로운 산업개발과 융합이 필요한 시점에서 이번 결정은 지역의 변화와 혁신을 앞당기는 좋은 계기가 되고 있다. 경북도에서 추진 중인 ‘휴먼ICT중소기업 생태계 기반 구축’ 사업과 ‘전자의료기기 기반구축’ 사업과 연계할 계획이며 대기업과 함께 중소기업 지원과 창업생태계 구축,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가 기대된다. 특히 삼성은 1980년 3월에 삼성전자 구미1공장을 준공 이후 1983년 팩스, 1984년 키폰, 1989년 휴대폰을 생산하면서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많은 일자리를 창출 해왔다. 한편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는 금오테크노밸리내 3D디스플레이 부품소재 실용화지원센터 3층 747.95㎡(226평) 규모로, 강의실, 세미나실, 콘퍼런스 룸, 개인^팀별 개발공간이 마련돼 창업 아이디어를 가진 예비창업자, 투자자들이 직접 만나 교류할 수 있는 개방형 커뮤니티 공간으로 구성할 계획이다. 특히 삼성은 창조경제 혁신센터내 별도 기구를 설치해 경북과 공조하면서 실시간 중소기업 지원과 창조경제의 숙제를 함께 풀어갈 계획이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정부에서 창조경제 지역적 확산을 위해 대기업과 1:1 전담 지원체계를 만들어준데 대해 환영한다”며 “산업현장이 있는 경북도에서 창조경제의 성공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