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녹조확산, 정수 관리능력 향상시켜야
상태바
녹조확산, 정수 관리능력 향상시켜야
  • .
  • 승인 2016.08.16 13: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마 뒤 불볕더위가 이어지면서 전국의 주요 강과 호수에 녹조(綠潮)가 번지고 있다. 대청호와 낙동강 창녕함안보에는 이미 조류경보 '관심단계'가 발령됐고, 영산강 강정고령보 등에도 '녹색띠'가 확산하는 추세다. 신라 사적지인 경주 안압지도 녹색 물감을 풀어놓은 것처럼 진녹빛으로 변했다. 금강유역환경청은 지난 3일 오전 10시를 기해 대청호 회남·추동·문의수역에 올해 첫 조류경보 '관심단계'를 발령했다. 지난 1일 측정된 남조류 세포 수는 회남수역 5588개/㎖, 추동수역 7470개/㎖, 문의수역 7724개/㎖다. 새로 도입된 조류예보제는 남조류가 2주 연속 1000개/㎎를 넘어설 경우 '관심단계', 1만개/㎎ 이상이면 '경계단계', 100만개/㎎ 이상이면 '대발생'을 발령한다.
4대강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낙동강 창녕함안보는 지난달 25일 4320개/㎖이던 남조류 세포 수가 1주일 뒤 8174개/㎖로 두 배 치솟으면서 지난 1일 조류경보 '관심단계'가 발령됐다. 낙동강 강정고령보의 남조류 수치도 지난 1일 1988개/㎖로 경보 발령 기준을 넘어섰다. 이곳에는 지난 6월 8일부터 7월 12일까지 한 달 넘게 조류경보가 이어졌다. 초여름부터 녹색 물빛이 돌던 영산강 승촌보·죽산보·구진포·영산포의 남조류도 지난 1일 6800개/㎖로 올라섰다. 이곳은 상수원이 아니어서 수질예보제가 시행된다. 경보는 남조류가 2주 연속 1만개/㎖를 넘어설 때 발령된다.
여름철 수온 상승이 주 요인으로 꼽히고 있지만 녹조는 생활 오·폐수 등 오염 물질과도 직접 관련돼 있다. 주요 식수원에 조류 경보가 잇따르면서 가뜩이나 무더운 날씨 속에 먹는 물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어 녹조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근본대책이 절실해 보인다. 녹조가 그간 별로 발생하지 않았던 한강 수계에서까지 이상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한강 수온이 치솟으면서 남조류의 번식이 왕성해지고 있다는 것인데 수도권 식수원인 팔당호에서도 녹조가 관측됐다. 환경부는 최근 보도 참고자료를 통해 주요 강과 호수에 녹조 현상을 유발하는 남조류가 다량 번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진단을 내놓았다.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주말인 지난 13일 녹조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팔당호를 직접 방문, 철저한 대응을 당부했다. 정부는 일단 취수구 주변에 조류 차단막을 설치해 조류 유입을 방지하고 조류 독소를 처리하기 위한 정수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우선 먹는 물을 안전하게 확보해 보자는 취지다. 정부 내에는 이미 관계 부처들이 참여한 녹조대응 TF가 상시 가동 중이다. 대책은 댐과 보, 저수지에서 확보한 물량을 방류함으로써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방안 등이 주류를 이룬다.
지금까지 나온 정부 대책은 먹는 물을 보호하기 위해 정수 과정을 철저히 하고 방류를 통해 녹조 현상을 일시 완화하는데 치중돼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매년 연례행사처럼 반복되는 현상이라고는 하지만 대책도 재탕 수준이다. 낙동강 수계의 경우 4대강 사업 이후 유속이 느려지면서 녹조 현상이 더욱 빈발한다는 학계의 주장이 나온다. 낙동강의 수질 자체가 악화하면서 1급수 어종이 사라지고 어류 생태계가 심각하게 망가졌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돼 있다. 이에 따라 녹조를 주로 수온 상승에 의한 현상으로 접근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근본 원인을 재점검해 볼 것을 제안한다. 녹조를 유발하는 오염 물질에 변화가 생기지 않았는지, 4대강 사업이 녹조 현상을 더욱 심각하게 만든 것은 아닌지 등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는 것이다. 당장 먹는 물이 중요하기 때문에 정수 관리 능력을 향상하는 조치는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