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野,탄핵 가결후 정국 수습책 '물밑 논의'
상태바
野,탄핵 가결후 정국 수습책 '물밑 논의'
  • 이신우
  • 승인 2016.12.07 08: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야권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의 9일 가결 이후 로드맵을 구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번져가고 있다.
 일단 야권은 표면적으로는 9일 이후의 일은 염두에 두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탄핵안 가결에 모든 것을 걸겠다는 뜻이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현재로선 오직 탄핵에 집중하고 있다. 탄핵 이후에 대해서는 사실은 따로 로드맵을 가진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우상호 원내대표 역시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탄핵안이 가결되고 나서야 정치일정 논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물밑에서는 아무 대책 없이 시간을 보내서는 안된다는 의견도 고개를 들고 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탄핵 동력에 혹시라도 영향을 줄 수 있으니 드러내놓고 말할 수는 없지만, 어떤 방식으로 혼란을 수습할지는 이제 구상을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 원내대표 역시 탄핵안 가결을 전제로 “경제대책을 어떻게 세울 것인가부터 해서 민생 문제를 포함해 논의해야 할 것들이 있다”고 밝혔다.
 민병두 의원은 “탄핵안이 가결되고 나면 경제부총리를 누구로 임명할지에 대해서는 시급하게 결정해야 한다”며 “시장에 시그널을 보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민 의원은 대통령 권한대행의 권한을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최근 ‘대통령 권한대행법 제정안’을 제출하기도 했다.
 이처럼 탄핵 후 정국 수습책이 물밑에서 논의되고는 있지만 야권내 각 진영의 이견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황교안 대행체제’를 바라보는 시각부터 엇갈리고 있다.
 한편에서는 황교안 대행체제를 수용하는 대신 총리의 권한을 최소화하고 ‘관리형 내각’을 구성해 다음 정권 준비작업에 주력하자는 의견이 나온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탄핵안이 가결되면 어차피 조기대선이 불가피하지 않나”라며 “다음 정권에서 국정을 힘있게 끌고 가도록 지금의 권한대행은 혼란을 수습하는 역할을 하면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제라도 총리를 교체해 적극적으로 ‘국정 개조’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국민의당 정동영 의원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공안검사 출신인 황 총리가 역사적 국면의 책임자가 된다는 것은 모욕”이라며 “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국민의당 김동철 비대위원장이 합의하면 총리를 바꿀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정 의원은 “탄핵안이 9일 오후에 결과가 나올 텐데, 그 안에 황 총리를 끌어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민 의원은 “황 총리가 대행이 된 후라도, 자신이 스스로 다른 총리를 제청하는 방식으로 교체하는 방법도 있다”고 설명했다.
 추 대표는 지난달 28일 기자단과 오찬간담회에서 “촛불민심이 바라는 ‘국민 추천 총리’를 국회가 동의하고, 그 다음에 황 총리가 물러나는 정치적 해법을 모색할 수 있다”는 로드맵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같은 총리교체 논의는 개헌론으로도 번질 수 있어 주목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