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포항 음폐수병합처리시설 ‘돈 먹는 하마’ 전락
상태바
포항 음폐수병합처리시설 ‘돈 먹는 하마’ 전락
  • 포항/ 박희경기자
  • 승인 2017.01.25 08: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설 공사 환경공단측 수년째 정상수질 못맞춰 정상 가동 한계
연평균 90t 처리 보증불구 효율 떨어져 인근 위탁…‘혈세 줄줄’

 경북 포항시 음폐수병합처리시설이 ‘돈먹는 하마’로 전락했다. 수년째 정상 가동되지 못하면서 아까운 시민혈세만 까먹고 있기 때문이다.
 24일 포항시에 따르면 시행기관인 한국환경공단은 정상가동을 위한 추가 시설개선공사를 위해 성능보증확약서까지 제출했으나 이달 현재까지 보증수질을 맞추지 못해 시설이전을 하지 못하고 있다.
 시는 지난 2011년 남구 호동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체인 영산만산업 인근에 음폐수병합처리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공단과 낙찰금액 69억7000만 원으로 계약을 체결하고 공사를 착공했다.


 하지만 공단은 지난 2012년 12월 공사가 완료돼 2013년 1월부터 시운전을 거쳐 그해 8월부터 정상 가동해야 하지만, 법적 보증수질을 맞추지 못해 9월 또 다시 시설정상화를 위해 18억7100만 원의 추가 예산을 들여 시설개선공사를 했다.
 공단은 이 과정에서 보완공사 이후 시설이 정상가동되지 않을 경우 모든 사항에 대해 법적, 경제적 책임을 진다는 성능보증 확약서까지 작성했으나 현재까지 보증수질을 맞추지 못하고 있다.
 이날 현재까지 법적 방류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해 반입 음폐수 중 일부가 울산의 음폐수위탁처리업체에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단은 미생물 호기성 방식으로 연 평균 90t의 음폐수를 처리한다고 보증했으나 현재까지 겨우 연 평균 54t을 처리하는 데 그치고 있다.


 현재는 하루 평균 20~30t을 처리할 정도로 효율이 떨어지고 있다. 연 평균 36t이 울산 음폐수위탁처리업체로 보내지거나 포스코 하수처리장, 구룡포·흥해·포항하수처리장 등에서 나눠 처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음폐수처리비용으로 매년 시민혈세가 새 나가고 있다. 지난해 4억6800만 원이 지출됐고 올해는 5억2800만 원이 책정된 상태다.
 음폐수처리의 핵심이 되는 부유물질(SS)의 경우 공사 당시 3만4000ppm으로 설계돼 발생 음폐수 평균치 7만3000ppm를 휠씬 밑돌고 있어 근본적으로 수질보증이 불가능하다는 게 환경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에 대해 포항시 관계자는 “한국환경공단이 수년째 정상 수질을 맞추지 못해 미생물 호기성 방식에 대한 신뢰성이 전무한 실정이지만 법적, 경제적 책임을 면하기 위해 가동을 하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한편 포항시와 한국환경공단은 이 문제를 놓고 현재 소송을 벌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