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정초부터 천정부지 물가…깊어지는 서민 주름
상태바
정초부터 천정부지 물가…깊어지는 서민 주름
  • 김윤미기자
  • 승인 2017.02.02 15: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활필수 석유류·식료품값 ‘고공행진’
농·축·수산물 가격 전년比 8.5% 올라
유가 상승에 다른 물가지수도 함께↑
소비 위축 이어 내수침체 악순환 초래

 1월 소비자물가가 4년 3개월 만에 2%대에 올라섰다. 특히 석유류와 각종 식료품의 물가 상승 폭이 커 서민 고통이 가중되고 있다.
 2일 통계청의 1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2.0%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폭은 2012년 10월 2.1% 이후 4년 3개월 만에 가장 컸다.
 월별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상반기 대부분 0%대 상승률에 그쳤다. 하반기 들어 1%대로 올라서긴 했지만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11월 기록한 1.5%였다. 2015년에는 1월과 12월을 제외하고는 매달 0%대 저물가 기조를 이어갔다.
 
 ◆생활물가지수 고공비행 …서민층 고통 가중 우려 = 불과 몇 달 전까지 이어지던 저물가 우려가 무색하게도 정유년 새해 첫 달부터 물가는 2%대로 치솟았다. 여기에는 국제유가가 지난해 말부터 반등한 영향이 컸다. 두바이유는 지난달 배럴당 50달러대로 상승해 석유류 가격을 8.4% 상승시켰다.
 AI에 따른 계란 대란 여파도 1월 물가에 본격 반영됐다. 계란 대란은 지난해 12월부터 빚어졌지만 조사 기간과 겹치지 않아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그러나 이달에는 61.9%나 뛰어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76년 이래 월별 상승률로는 최고를 찍었다.


 무(113.0%↑), 당근(125.3%↑)도 1년 전과 견줘 2배 이상씩 뛰는 등 농·축·수산물 가격이 들썩인 점도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8.5% 올라 전체 물가를 0.67%포인트 끌어올리는 효과를 냈다. 신선식품지수도 12.0%나 상승하면서 지난해 9월 이후 10%대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석유류 가격 상승은 교통, 공업제품 등 다른 물가지수에도 영향을 미쳤다. 대중교통 운임, 연료 가격 등이 포함된 교통 물가는 3.8%나 상승하면서 2012년 6월 4.2%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올랐고 공업제품 물가 역시 2014년 8월(2.1%) 이후 최대인 1.6%나 뛰었다.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도 5.3% 오르면서 2012년 4월(5.3%)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서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보험서비스료(19.4%), 하수도료(11.8%) 등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이며 큰 폭으로 인상됐다.
 가계 소득은 늘지 않고 오히려 빚만 쌓여가는데 이처럼 필수적인 석유류와 교통요금, 식료품 등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서민 생활을 더 팍팍하게 만들고 있다.
 경기기 좋지 않은 상황에서 물가가 오르면 가계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이는 다시 전반적인 내수 침체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형성하게 된다. 소비자들은 지난 1년 간 물가가 많이 올랐고 앞으로도 고공비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급요인이 물가상승 견인…당분간 2% 전후 상승세 지속할 듯 = 정부는 최근 물가 상승이 지난해 저유가에 따른 기저효과에다가 AI와 같은 공급측면의 일시적 요인에 따른 것인 만큼 급등세가 곧 진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공급측면의 일시적 변동요인을 제외한 농산물 및 석유류제외지수(근원물가지수)는 1월 1.5% 상승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1.7% 올라 전체 소비자물가에 비해 상승폭이 작았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직후 배포한 분석자료에서 “1월 물가 상승은 지난해 석유류 등 에너지가격 하락에 따른 기저효과 등 특이요인이 크게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 역시 최근 물가 상승세는 경기 활성화에 따른 수요 증가에 의한 것이 아닌 만큼 인플레 우려는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기재부 역시 “국제유가 흐름을 감안하면 향후 소비자물가는 에너지 가격 기저효과 축소에 따른 단기 하향 조정을 거친 뒤 1%대 후반 수준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다만 기상여건 악화, 석유수출국기구(OPEC) 감산합의 이행상황 등에 따라 물가 상하방 요인이 혼재하는 만큼 매주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어 물가안정대책 추진상황을 지속 점검할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