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AI·구제역 되풀이…“밀식사육 개선해야”
상태바
AI·구제역 되풀이…“밀식사육 개선해야”
  • 백인숙기자
  • 승인 2017.02.09 10: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겨울 조류 인플루엔자(AI)에 이어 구제역까지 동물 전염병이 한반도를 강타하면서 생산성만을 좇는 가축의 밀식 사육 방식에 대해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다시금 높아지고 있다.
    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6일 전남 해남과 충북 음성에서 AI 최초 신고가 접수된 이후 이날까지 국내 가금류 농가 사육 마릿수의 20% 정도인 3천312만마리가 살처분됐다.

 

    과거 AI 최대 피해로 기록됐던 2014∼2015년 517일간 살처분된 1천937만마리를 휠씬 뛰어넘는 규모다.

    피해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데는 살처분에만 의존한 방역체계도 문제이지만, 효용성에만 집착해 마치 거대한 공장처럼 운영되는 밀식 사육 방식에도 기인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현행 축산법을 보면 알 낳는 닭을 기준으로 1마리의 최소 사육 면적은 A4 용지(0.062㎡) 한 장도 되지 않는 0.05㎡다. 축산 당국이 양계농장을 일일이 조사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런 기준조차 제대로 지켜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일부 농가에서는 수면 주기를 짧게 하거나 강제 털갈이 등으로 달걀 생산량을 늘리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이런 열악한 조건에서 자란 닭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내성도 약해져 AI와 같은 전염병이 유입되면 삽시간에 번지게 된다.

 

    돼지도 마찬가지다.

    수많은 돼지 사육농가에서는 새끼를 낳는 어미돼지를 '스톨'이라 불리는 철제 감금 틀에 가둬놓고 인공수정과 출산을 반복한다. 스톨의 크기는 보통 가로 60㎝, 세로 210㎝ 정도다.

    이 안에서 운동 능력이 퇴화한 어미돼지는 풀어줘도 제대로 움직이지 못한다.

    극도의 스트레스로 서로를 공격하는 돼지도 생겨나는 데 이를 막고자 돼지의 앞니를 뽑기도 한다.

    보통 큰 우리에 풀어놓고 기르는 소 역시 닭이나 돼지 정도는 아니지만 축사 밀집도 면에서 나을 게 없다.

    이런 밀식 사육은 일단 전염병이 돌면 대규모 피해를 면키 어렵다. 지난 5일 올겨울 첫 구제역이 발생한 충북 보은군의 젖소 사육농장은 195마리에 달하는 젖소를 한꺼번에 살처분·매몰하는 피해를 비켜가지 못했다.


    닭의 케이지 사육이나 어미돼지의 스톨 사육은 유럽에선 이미 오래전부터 법으로 금지된 사육방식이다.

    1960년대부터 공장식 축산업이 문제 돼 인도적 사육환경을 조성하자는 '동물 복지' 개념이 확산했다.

    영국의 경우 1980년대 광우병과 구제역 파동을 겪으며 동물 복지농장이 대안으로 대두했다.

    밀식 사육이 전염병 확산에 상당한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경험으로 체득한 셈이다.

    우리나라도 2012년 '동물 복지 인증제도'를 도입하기는 했다.'


    최대 사육 밀도 제한과 깨끗한 물과 사료의 충분한 공급 등이 골자다.

    5년이란 시간이 지났지만 현재 등록 농가는 닭을 중심으로 100여곳에 그치고 있다.

    비용 대비 수익이 나지 않는 데다 정부 지원도 부족한 탓이다.

    시설 투자에 따른 생산비는 많이 들어가는 데 동물 복지 인증 마크를 달더라도 시장에서 제값을 받기 힘들다는 게 동물복지 인증 농장주들의 한결같은 푸념이다.

    별다른 정부 지원책이 없는 것도 참여가 부진한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한때 동물복지 인증 직불금 시행이 검토되기도 했지만 부처 간 이견으로 무산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