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송도 워터프런트 조성, 市-주민간 이견
상태바
송도 워터프런트 조성, 市-주민간 이견
  • 인천/ 정원근기자
  • 승인 2017.03.27 08: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215억 투입’ 송도 외곽 호수-수로 연결사업 건설 형태 놓고 ‘논란’
市 “송도 11공구 제외 ‘ㄷ’자 추진” vs 주민 “원안대로 ‘ㅁ’자 돼야”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국제도시 외곽을 호수와 수로로 연결하는 ‘워터프런트 조성사업’을 놓고 시와 주민 사이에 논란이 일고 있다.
 26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오는 2027년 완공을 목표로 6215억원을 들여 송도국제도시 외곽 16㎞를 호수와 수로로 연결하는 워터프런트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애초 수로 총연장 21㎞, 폭 60∼400m의 ‘ㅁ’자 형태로 계획됐지만, 동쪽의 송도 11공구 구간을 뺀 ‘ㄷ’자 형태로 변경돼 총연장 16㎞, 폭 40∼400m 규모로 축소됐다.
 인천경제청은 “지난해 정부합동감사에서 송도 11공구에 대한 사업비가 누락됐다”며, “타당성 조사를 재검토하도록 지적받았는데, 11공구 수로 조성 비용까지 포함하면 사업편익비용(B/C)이 0.63으로 나빠져 사업 추진 자체가 어렵다”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우선 ‘ㄷ’자 형태로 추진하고, 나머지 송도 11공구 수로 부분이 건설되면 서로 연결해 ‘ㅁ’자 형태를 완성하면 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송도 주민들은 “시가 앞으로 송도 11공구의 개발계획을 변경하거나 토지를 매각해 워터프런트가 ‘ㄷ’자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주민으로 구성된 송도국제도시총연합회 등은 “인천시가 재정난 타개를 위해 송도국제도시의 개발 동력인 토지를 팔아 부채 상환과 재정에 충당하고, 워터프런트와 같은 핵심 개발사업은 축소하려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달 열린 인천시 지방재정투자사업 심의에서는 송도 워터프런트 전체 사업구간을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하도록 결정됐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ㄷ자 형태는 B/C 값이 1.31로 추정돼 내년 하반기 착공을 목표로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며, “송도 11공구 수로 부분은 도시계획상 공원, 유수지 등 핵심 기반시설로 지정된 만큼 이후에도 주민들이 걱정하는 토지 매각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미 송도 11공구 설계에 반영된 수로 부분을 계획에서 폐지하려면 11공구 내 다른 곳에 같은 면적의 공원과 대체유수지를 확보해야 하는 탓에 시가 계획을 바꾸거나 땅을 매각할 것을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인천경제청은 오는 10월까지 타당성 조사를 마치고, 지방재정 투자심사를 통과하면 곧바로 1단계 실시설계를 발주해 내년 7월 착공할 계획이다.
 인천경제청은 ‘ㄷ’자 형태 호수와 수로 중에서도 1단계로 2536억원을 들여 2021년까지 서쪽 호수와 북측 수로를 우선 연결할 방침이다. 인공수로에는 수질 유지를 위해 바닷물을 순환시키는 시스템이 구축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