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임기단축 개헌이 시사하는 의미는
상태바
임기단축 개헌이 시사하는 의미는
  • .
  • 승인 2017.04.30 10: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후보는 28일 집권을 하면 국회의 추천을 받아 책임 총리를 지명하겠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탄핵 반대세력과 계파패권주의 세력을 제외한 모든 합리적 개혁세력과 힘을 합쳐 이 나라를 바꾸겠다"며 '권력의 분산과 협치를 통한 개혁공동정부 구상'을 발표했다. 안 후보는 개혁공동정부 실천방안과 관련, 헌법정신에 입각한 책임총리와 책임장관제 도입, 국가개혁과제의 내각 주도를 약속했다.

그동안 안 후보는 내년 6월 지방선거 때 개헌안을 국민투표에 부치는 것에는 동의했으나 대통령 임기 단축에 대해선 유보하는 태도를 보였다. 다른 네 후보의 공약에도 내년 지방선거 때 개헌안 국민투표가 들어가 있다. 하지만 대통령 임기 단축까지 공약한 것은 심상정 정의당 후보가 유일하다. 지지율 선두인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등 나머지 세 후보는 임기 단축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안 후보는 이날 친문(친문재인)·친박(친박근혜)을 제외한 모든 세력에 문호를 개방하는 '통합정부 로드맵'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한 세력과 패권주의 세력은 빼고, 나머지 모든 정파가 참여하는 개혁공동정부를 구성하겠다는 것이다. 안 후보는 또 내각 통할권을 가진 책임총리를 국회 추천을 받아 임명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개헌을 고리로 한 '비문연대' 공세로 역전 승부수를 던진 셈이다. 김종인 전 민주당 대표가 대선전 초반에 그렸던 집권 전략이 뒤늦게 안 후보를 통해 구체화한 형국이기도 하다. 김 전 대표는 안 후보가 제안한 공동정부 준비위원장직을 받아들일 것 같다. 안 후보는 문 후보와 양강구도까지 갔다가 최근 가파른 내리막을 탔다. 이제 관심의 초점은 안 후보가 추격과 반전의 모멘텀을 찾을 수 있을지로 모인다. 결국, 안 후보가 보수와 중도층에 넓게 퍼져 있는 반문(반문재인) 부동표를 어느 정도 흡인할 것인지가 관건이다. 개헌과 연계한 임기 단축 카드가 어느 정도 먹힐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다섯 명의 후보가 모두 내년 지방선거 때 국민투표를 공약한 만큼 개헌 자체에 반대할 명분은 약하다. 특히 조기 대선의 근인으로 지목되는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기에 대해서는 거의 이견이 없다고 봐야 한다. 문제는 차기 대통령의 임기가 개헌의 결정적 장애물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5년 단임'인 현 대통령제를 개편하는 방안으로는 '4년 중임' 대통령제와 이원집정부제가 많이 거론된다. 어느 길로 가든 대통령 권한을 대폭 축소하고, 대통령과 국회의원 임기를 맞춘다는 것에는 대체적인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차기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 사이에는 약 2년의 시차가 있다. 안 후보가 임기 3년 단축을 공약으로 내건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제 공은 다른 후보들한테로 넘어갔다. 통합정부를 말한다면 문 후보도 비슷한 청사진을 제시했고,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도 나름대로 협치 방안을 내놨다. 하지만 어떤 의미에선 훨씬 더 중요한 게 개헌이다. 모두 내년 지방선거 때 개헌 국민투표를 한다고 하면서 곤란한 부분은 애써 외면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전체 개헌 판을 흔들 만큼 핵심적인 변수가 차기 대통령의 임기 문제인데 가타부타 언급을 피하고 있는 것이다. 안 후보 선대위의 김성식 전략본부장은 "무조건 3년으로 줄인다는 게 아니라 가능성을 열어 놓는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새 정부 출범 후 국회가 헌법 개정안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대통령 임기 단축이 필요한 방안으로 의견이 모이면 이에 따르겠다는 뜻이다. 다음 정부 임기 내 개헌을 공약한 후보라면 이 정도 임기 단축 약속을 거부할 명분이 있을까 싶다. 만약 그렇다면 국민이 이해할 수 있을 만큼 현실적이고 명분과 설득력을 갖춘 대안을 내놔야 할 것이다. 안 후보가 약속한 조건부 임기 단축에 반대하면서 대안도 제시하지 않는 것은 대선 후보로서 무책임하고 부도덕하다. 최종 선택은 후보 본인의 몫이다. 그러나 유권자들의 민심은 변할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