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국민의당, 의혹 조작 ‘이유미 단독범행’ 결론
상태바
국민의당, 의혹 조작 ‘이유미 단독범행’ 결론
  • 이신우기자
  • 승인 2017.07.04 08: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관영 “安 관여 증거 못찾아
이준서 자료요구에 조작한듯”
이유미, 구속전 安에 구명문자


 문준용씨 의혹제보 조작 사건 국민의당 진상조사단장인 김관영 의원은 3일 “결론은 이유미씨의 단독범행”이라면서 “안철수 전 대표가 이 사건에 관여했거나 인지했거나 조작된 사실을 보여줄 어떤 증거나 진술도 발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최종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국민의당이 (제보조작에 대한) 검증을 실패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조직적으로 없는 증거를 조작할 만큼 미숙한 정당이거나 파렴치한 정당은 아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5월5일 의혹제보 조작 발표 경위에 대해 “이준서 전 최고위원이 이유미 씨한테 파슨스에 지인이 있다는 말을 듣고 4월 말경부터 문준용 씨에 대한 정보수집을 요청했다”면서 “이유미 씨는 파슨스 출신 김익순이라는 사람에게 들은 이야기라면서 여러 이야기를 전했고 카카오톡 메시지 캡처 화면을 조작해 제공했으며 음성녹음까지 남동생을 동원해 조작해 제공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유미씨는 이 사건에 대한 검찰 조사가 진행되고 6월 26일 출석하라는 요구를 받자 조작 사실 일체를 지난달 24일 전후해 대선 공명선거추진단장이었던 이용주 의원 등에게 털어놨다”면서 “국민의당이 공식적으로 당시 증거들이 조작됐다는 것을 최초로 인지한 시점이 바로 이때”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용주 의원은 다음 날인 25일 공명선거추진단의 김성호·김인원 부단장, 이 전 최고위원, 이유미 씨 등과의 5자 회동을 통해 증거조작 사건에 대한 구체적인 경위와 상황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유미 씨는 5자 회동 시 “이 전 최고위원의 거듭된 자료요구 압박에 못 이겨서 증거를 조작했다”고 진술했으나 ‘이준서 전 최고위원이 이유미에게 명시적으로 혹은 은유적으로라도 조작을 지시하란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런 부분이 없다”고 답했다고 김 의원이 전했다.


 김 의원은 또 “이 전 최고위원은 해당 제보를 입수한 5월 1일경 언론사와 박지원 전 대표에게 알렸다”면서 “당시 이 전 최고위원이 박 전 대표와 한차례 통화한 내용이 추가로 밝혀졌으나 이 전 최고위원이 바이버로 자료를 보냈으니 확인해 보라는 내용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5월 5일 해당 보도가 나가기 전까지 당내외에서 관련 내용을 안 전 대표에게 보고한 적은 없는 것으로 진술되고 있다”면서 “안 전 대표의 휴대전화 기록 등으로 이 전 최고위원, 이유미 씨 등이 5월 5일 이전에 문자메시지 등으로 내용을 전송한 것이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박주선 비상대책위원장이 제보조작 사실을 공식 발표한 6월26일 이틀전인 24일 안 전 대표와 이 전 최고위원이 만난 것에 대해 “이 전 최고위원은 대선 때 고소·고발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에 대해 당의 관심이 너무 없어서 서운하다는 이야기만 했을 뿐 이유미 씨 구명이나 고소취하 등은 직접 언급한 것은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전 최고위원은 이유미 씨에게 “안 전 대표에게 고소취하 관련한 이야기를 했다는 취지의 거짓말을 했다고 진술했다”고 말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그 이유에 대해 “조작된 사실을 그때까지 몰라서 제보자가 이야기하면 깨끗이 해결될 것이란 자신감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이유미 씨는 “이 일로 구속된다고 하니 저는 정말 미치도록 두렵다. 죽고 싶은 마음뿐이다. 조속히 고소취하 부탁드린다”는 문제 메시지를 안 전 대표에게 6월25일 오전 7시3분에 발송했다고 김 의원은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