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민주주의 정신 되새기는 장되길
상태바
민주주의 정신 되새기는 장되길
  • .
  • 승인 2018.06.11 14: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남영동 옛 치안본부 대공분실이 시민사회의 바람대로 민주인권교육의 장으로 거듭난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6·10 민주항쟁 31주년 기념식에서 남영동 대공분실을 민주인권기념관으로 조성해 아픈 역사를 기억하며 동시에 민주주의의 미래를 열어가는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지금은 경찰청 인권센터가 들어서 있다. 그러나 박종철기념사업회 등은 국가폭력 가해자였던 경찰이 이곳을 홍보용으로 쓰는 것보다는 시민사회에 환원해 민주·인권 활동을 기념하고 교육의 장으로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지난해 10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6기 이사회가 출범하면서 민주화기념관 건립이 재추진됐고 옛 남영동 대공분실이 유력한 후보지로 거론됐다. 박종철기념사업회 등도 1월 대공분실을 시민사회가 운영하는 인권기념관으로 변경해달라며 청와대에 국민청원을 하기도 했다. 정부는 우선 내년 초 관리권을 경찰에서 행정안전부로 이관한 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를 중심으로 관리를 위탁할 계획이다. 이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박종철기념사업회, 고문 피해자 등으로 구성된 인권기념관추진위원회가 활용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정부와 민주화운동가, 역사학자 등도 참여하는 공론화 과정을 거쳐 최종 활용방안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행안부 관계자는 "옛 남영동 대공분실 활용은 건물의 역사성, 상징성을 고려해 최대한 원형을 보존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면서 "일반 시민의 추모·체험·교육 등이 가능한 형태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약속은 남영동 대공분실을 역사적 기념관으로 만들어 시민들에게 운영권을 넘겨 달라고 요구해온 시민사회의 오랜 바람을 수용한 것이다. 남영동 대공분실이 6·10 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된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사건의 현장이라는 점에서 민주주의와 인권의 산교육 장소로 삼기에 적절하다. 시민단체들은 그동안 경찰이 남영동 대공분실을 운영하는 것은 아픈 역사를 되새기기보다 경찰 홍보의 성격이 더 크다고 비판해왔다. 서울 용산 한강대로에 지상 7층 본관과 2층 부속건물 등으로 이뤄진 남영동 대공분실은 권위주의 정권 시절에 고(故) 김근태 의원 등 민주화 운동 인사들을 고문했던 곳이다. 지난 1987년 1월 14일 서울대생 박종철 열사가 폭행, 전기고문, 물고문을 받다 숨진 사건은 그해 6월 범시민 민주항쟁으로 이어졌다. 당시 5공 정권은 박 열사에 대한 고문 사실을 숨기려고 "탁하고 치니 억하고 죽었다"는 변명을 내놓아 시민들의 분노를 촉발했다. 이후 남영동 대공분실을 폐쇄하라는 여론이 높아지자 2005년 경찰청 인권센터로 바뀌었지만, 시민들은 국가폭력의 주체였던 경찰이 운영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시민의 품으로 돌려달라고 요구해왔다. 남영동 대공분실을 소재로 다룬 영화 `1987'로 이곳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자 행정안전부는 시민사회 환원을 위해 그동안 경찰청, 서울시 등과 협의를 진행해왔다고 한다.


6·10 민주항쟁은 현대사에서 4·19혁명, 5·18 민주화운동 등과 함께 우리 사회의 민주화를 획기적으로 앞당긴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역사학계에서는 `최순실 국정농단'에 분노한 시민들이 2016∼2017년 벌인 `촛불항쟁'도 6·10 민주항쟁의 연장선으로 보는 학자들이 적지 않다. 촛불 항쟁과 6·10 민주항쟁에서는 좌우나 보·혁 간 이념대립이 없었다는 점도 눈에 띄는 공통점이다. 말 그대로 온 국민이 하나가 된 시민혁명이었다. 그런데 6·10 민주항쟁 후 31년이 지난 지금 우리 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 등 각 분야에서 이념 대립이 심각한 현실에 계기로 좀 더 성숙한 민주사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