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접점 못찾은 인천시 “완전 공영제” 초강수
상태바
접점 못찾은 인천시 “완전 공영제” 초강수
  • 인천/ 정원근기자
  • 승인 2018.08.21 08: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정 지원·준공영제 불가” 고수
업계 “폐선신고 철회” 한발 후퇴

인천 광역버스 폐선 신고 사태 막전막후 <中>


 인천시는 지난 14일 업체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었지만, 접점이 좁혀지지 않자 결국 시가 광역버스를 직접 운영하는 ‘완전 공영제’ 카드를 꺼내 들었다.
 시는 지난 16일 업체 대표들과 다시 간담회를 열어 “업체들이 폐선 신고를 철회하지 않는다면 폐선 신고를 수리할 수밖에 없다”며 “업체들이 빠지면 시가 직접 광역버스를 운영하는 완전 공영제로 갈 것”이라고 전달했다.


 시는 실제로 업계와 협의가 결렬될 경우, 내년 1월부터 완전 공영제를 시행한다는 방안도 마련했다.
 업체들이 폐선 신고일로 정한 21일 정식으로 폐선 처리를 하고, 12월31일까지 버스와 기사를 업계로부터 양도·양수하고 내년 1월부터 공영제를 시행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운행 중단을 막기 위해 업계에는 연말까지 연장 운행을 해 주면 그 기간만큼 적자 보전을 해 주고, 국토교통부에서 공표하는 광역버스 1대당 기업 이윤도 보장하겠다는 단서를 달았다.
 시가 버스를 직접 운영하겠다는 강수를 내놓자 업계는 “약속했던 23억 원 중 10억 원이라도 지원을 해 달라”, “조조할인 요금제를 폐지해 달라”며 타협안을 제시했지만, 시는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


 박준하 인천시 행정부시장은 “버스 업체의 어려움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단기적이고 무책임한 미봉책으로 봉합해서는 안 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며 “재정지원과 준공영제 적용은 절대 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했고, 업계도 시의 단호한 입장을 이해했다”고 밝혔다.


 졸지에 운영노선이 모두 폐지될 상황에 놓이자, 업체 대표들은 지난 16일 낮 12시50분 폐선 신고 철회서를 시에 제출했다.
 이날 폐선 신고를 철회한 천지교통 김해숙 대표는 “원래부터 시민께 심한 불편을 끼칠 운행 중단을 강행할 마음은 없었다”면서 “이번 일을 계기로 업계가 처한 현실과 고충에 대해 정부와 시민들께서 관심을 갖기를 바랐다”는 심정을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