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서울 중구, 재해구호체계 새 틀 마련
상태바
서울 중구, 재해구호체계 새 틀 마련
  • .
  • 승인 2014.05.13 09: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매일/서울> 서정익 기자 = 중구는 이번 진도 여객선 침몰 사건시 구조와 구호 체계가 미흡했던 것을 참고해‘중구 재해구호계획’을 점검하고 보완책을 수립했다. 공무원들의 우왕좌왕으로 구조 및 구호가 신속히 이뤄지지 않아 피해 가족들에게 더 큰 상처를 주었다는 지적에 따라 재해발생시 신속한 구호로 이재민 보호와 생활안정에 기여하기 위해서다.이에 따라 태풍·호우 등 자연재난은 물론 화재·붕괴·폭발 등 사회재난으로 발생한 이재민들을 구호하는 일을 담당하는 지역구호센터를 설치한다. 확실한 컨트롤타워를 위해 센터장인 구청장을 중심으로 부구청장이 총괄관을 맡아 이재민구호반, 의료지원반, 감염병관리반, 위생지도반, 구호활동반을 일사분란하게 지휘하는 체계를 갖춘다.구호활동반을 제외하고 반별로 3개조를 편성해 24시간 교대근무토록 한다. 구호활동반은 각 동장과 동주민센터 직원, 통반장, 지역자율방재단원 등으로 구성하고 피해 규모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한다.지역구호센터는 이재민들에게 임시 주거시설은 물론 급식 또는 식품·의류·침구 그 밖의 생활필수품을 제공한다. 의료서비스 제공과 감염병 예방 및 방역활동, 위생지도도 실시한다.중부소방서, 중부·남대문경찰서 등 유관기관과 전국재해구호협회, 대한적십자사, 지역자율방재단, 자원봉사센터 등 민간구호단체들과도 협력체계를 이뤄 구호물자 수송·지급·관리, 급식·세탁 봉사, 주택복구 등 구호활동 지원을 요청한다.이를 위해 재해에 대비한 학교 7곳, 구민회관, 관공서 2곳, 기타 7곳 등 17개의 이재민 임시 주거시설을 마련하였다. 지진이 발생할 경우에는 학교 운동장 9곳, 공원 2곳 등 11개 대피장소를 확보했다.이재민이 발생하면 즉시 가까운 임시 주거시설로 안내하고 화장실과 간이목욕실, 간이 급수시설 등을 설치해 이재민을 보호한다. 서울시 복지정책과와 협의하여 재해구호물자를 확보하고, 재해발생상황을 파악하기 전이거나 재해발생이 진행중인 때라도 지체없이 재해구호물자를 이재민에게 지급한다. 단, 중복 지급을 피하기 위해 재해구호물자 통합정보시스템에 이재민 피해상황을 입력후 지급한다.구청장 권한대행인 김찬곤 부구청장은 “재난이나 재해시 공무원 조직이 신속하게 움직여 이재민들을 보호하고 생활안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