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서울시장선거 ‘초접전’, 경기 인천 “與 앞서”
상태바
서울시장선거 ‘초접전’, 경기 인천 “與 앞서”
  • .
  • 승인 2014.05.30 10: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리서치뷰ㆍ팩트TVㆍ뷰앤폴 수도권 특집조사- 서울“정몽준(49.5%) vs 박원순(47.6%)”, 적극투표층“박원순 2.3%p 앞서”- 경기“남경필(49.9%) vs 김진표(43.0%)”, 적극투표층“남경필 4.5%p 앞서”- 인천“유정복(53.9%) vs 송영길(40.3%)”, 적극투표층“유정복13.0%p 앞서”<전국매일/서울> 서정익 기자 =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서치뷰’가 인터넷방송 팩트TV, 인터넷신문 뷰앤폴과 함께 선거법 상 마지막 공표가 가능한 지난 28일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19세 이상 유선전화가입자 2,400명(서울/경기/인천 각 800명)을 대상으로 특집조사를 진행했다. 조사결과 최근 공표된 전화면접조사나 유무선 혼합조사와 매우 판이한 조사결과가 나와 상당한 파문이 예상된다.□ 서울 “정몽준(49.5%) vs 박원순(47.6%)”, 정몽준 오차범위 내 1.9%p 앞서 적극투표층 “박원순(50.4%) vs 정몽준(48.1%)”, 박원순 오차범위 내 2.3%p 앞서먼저 연일 네거티브 공세로 난타전이 펼쳐지고 있는 서울시장선거는 손에 땀을 쥐는 초접전 양상을 보였다. “서울시장선거에 출마한 새누리당 정몽준, 새정치민주연합 박원순, 통합진보당 정태흥, 새정치당 홍정식 네 명의 후보 중에서 내일이 선거일이라면 누구에게 투표하겠느냐”는 질문에 49.5%의 지지를 얻은 정몽준 후보가 47.6%에 그친 박원순 후보를 오차범위(±3.5%p) 내인 1.9%p 앞섰다. 뒤를 이어 통합진보당 정태흥 0.6%, 새정치당 홍정식 0.5%순으로 나타났고, 무응답은 매우 낮은 1.8%였다. 반면, 이번 선거에 ‘반드시 투표할 것’이라고 답한 적극 투표층에서는 박원순 후보가 50.4%의 지지를 얻어 48.1%에 그친 정몽준 후보를 오차범위 내인 2.3%p 앞서며 판세가 뒤바뀌는 것으로 나타나 선거일까지 손에 땀을 쥐는 치열한 접전이 예상된다.□ 鄭 “중부권(54.2%)ㆍ강북권(52.9%)”, 朴 “강남권(50.3%)ㆍ강서권(51.3%)” 각각 우세권역별로 강남권(정몽준 46.6% vs 박원순 50.3%)과 강서권(정몽준 45.4% vs 박원순 51.3%)에서는 박원순 후보가 3.7~5.8%p 앞섰고, 중부권(정몽준 54.2% vs 박원순 43.2%)과 강북권(정몽준 52.9% vs 박원순 44.7%)에서는 정몽준 후보가 8.1~11.0%p 앞섰다.또한 본 조사에 응답한 800명의 시민 중 80.1%가 ‘반드시 투표할 것’으로 나타났고, 5.0%는 ‘그 때 가봐서’, 13.8%는 ‘투표를 못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특히 정몽준 지지층의 77.7%, 박원순 지지층의 84.8%가 ‘반드시 투표할 것’으로 나타나 박원순 후보 지지층의 투표의지가 더 높았다.비례대표 정당투표 지지도는 새누리당 51.2%, 새정치민주연합 33.2%, 정의당 4.7%, 통합진보당 3.2%순으로 나타났고, 다른 정당 또는 무응답은 7.8%였다. 적극 투표층에서는 새누리당 49.4%, 새정치민주연합 35.8%, 정의당 4.6%, 통합진보당 3.4%로 나타났고, 다른 정당 또는 무응답은 6.8%였다. 본 조사 응답자 중 58.8%가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 36.1%는 문재인 후보에게 각각 투표한 것으로 조사됐다. □ 경기 “남경필(49.9%) vs 김진표(43.0%)”, 남경필 오차범위 내 6.9%p 앞서 적극투표층 “남경필(49.9%) vs 김진표(45.4%)”, 남경필 오차범위 내 4.5%p 앞서경기도지사선거는 새누리당 남경필 후보가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는 가운데 적극 투표층에서는 격차가 더 좁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지사선거에 출마한 새누리당 남경필, 새정치민주연합 김진표, 통합진보당 백현종 세 명의 후보 중에서 내일이 선거일이라면 누구에게 투표하겠느냐”는 질문에 49.9%의 지지를 얻은 남경필 후보가 43.0%에 그친 김진표 후보를 오차범위(±3.5%p) 내인 6.9%p 앞섰고, 통합진보당 백현종 후보는 1.9%의 지지를 얻었다(무응답 : 5.2%).반면, ‘반드시 투표할 것’이라고 답한 적극 투표층에서는 남경필 49.9%, 김진표 45.4%로 남경필 후보가 오차범위 내인 4.5%p 앞서는 가운데 격차가 더 좁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南 “19/20대(47.9%)ㆍ50대(63.4%)ㆍ60대(66.8%)”, 金 “30대(60.1%)ㆍ40대(48.8%)”세대별로 19/20대(남경필 47.9% vs 김진표 41.5%), 50대(남경필 63.4% vs 김진표 32.6%), 60대(남경필 66.8% vs 김진표 27.6%)에서는 남경필 후보가 앞섰고, 30대(남경필 35.0% vs 김진표 60.1%)와 40대(남경필 40.9% vs 김진표 48.8%)에서는 김진표 후보가 앞섰다.또한 본 조사에 응답한 800명의 도민 중 83.9%가 ‘반드시 투표할 것’으로 나타났고, 6.3%는 ‘그 때 가봐서’, 8.9%는 ‘투표를 못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특히 남경필 지지층의 83.8%, 김진표 지지층의 88.6%가 ‘반드시 투표할 것’으로 나타나 김진표 후보 지지층의 투표의지가 더 높았다. 비례대표 정당투표 지지도는 새누리당 44.2%, 새정치민주연합 38.0%, 통합진보당 5.7%,정의당 3.8%순으로 나타났고, 다른 정당 또는 무응답은 8.3%였다. 적극 투표층에서는 새누리당 44.5%, 새정치민주연합 40.3%, 통합진보당 5.4%, 정의당 3.8%순으로 나타났고, 다른 정당 또는 무응답은 5.9%였다. 본 조사 응답자 중 53.2%가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 40.5%는 문재인 후보에게 각각 투표한 것으로 조사됐다. □ 인천 “유정복(53.9%) vs 송영길(40.3%)”, 유정복 오차범위 밖 13.6%p 앞서 적극투표층 “유정복(54.4%) vs 송영길(41.4%)”, 유정복 오차범위 밖 13.0%p 앞서인천시장선거는 새누리당 유정복 후보가 오차범위를 벗어나 여유있게 앞서는 가운데 적극 투표층에서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장선거에 출마한 새누리당 유정복, 새정치민주연합 송영길, 통합진보당 신창현 세 명의 후보 중에서 내일이 선거일이라면 누구에게 투표하겠느냐”는 질문에 과반이 넘는 53.9%의 지지를 얻은 유정복 후보가 40.3%에 그친 송영길 후보를 오차범위(±3.5%p)를 벗어난 13.6%p 앞섰고, 통합진보당 신창현 후보는 2.4%의 지지를 얻었다(무응답 : 3.3%).‘반드시 투표할 것’이라는 적극 투표층에서도 유정복 54.4%, 송영길 41.4%로 유정복 후보가 오차범위를 벗어난 13.0%p 앞서며 격차가 다소 좁혀졌다.□ 劉 “40대(51.9%)ㆍ50대(68.0%)ㆍ60대(71.2%)”, 宋 “19/20대(48.9%)ㆍ30대(57.6%)”세대별로 40대(유정복 51.9% vs 송영길 41.8%), 50대(유정복 68.0% vs 송영길 28.3%), 60대(유정복 71.2% vs 송영길 23.9%)에서는 유정복 후보가 앞섰고, 19/20대(유정복 42.8% vs 송영길 48.9%)와 30대(유정복 37.1% vs 송영길 57.6%)에서는 송영길 후보가 앞섰다.또한 본 조사에 응답한 800명의 시민 중 80.5%가 ‘반드시 투표할 것’으로 나타났고, 6.8%는 ‘그 때 가봐서’, 12.2%는 ‘투표를 못할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또한 유정복 지지층의 81.1%, 송영길 지지층의 82.6%가 ‘반드시 투표할 것’으로 나타나 송영길 후보 지지층의 투표의지가 조금 더 높았다.비례대표 정당투표 지지도는 새누리당 51.7%, 새정치민주연합 33.7%, 정의당 3.2%, 통합진보당 2.6%순으로 나타났고, 다른 정당 또는 무응답은 8.8%였다. 적극 투표층에서는 새누리당 53.4%, 새정치민주연합 34.4%, 정의당 3.6%, 통합진보당 1.3%순으로 나타났고, 다른 정당 또는 무응답은 7.2%였다. 본 조사 응답자 중 59.5%가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 33.8%는 문재인 후보에게 각각 투표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조사는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서치뷰(대표 안일원)가 인터넷방송 팩트TV, 인터넷신문 뷰앤폴과 함께 공표조사 마지막 시점인 28일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19세 이상 유선전화가입자 2,400명(목표할당 : 서울/경기/인천 각 800명)을 대상으로 ARS시스템을 이용해 임의걸기(RDD)로 진행했다. 특히 가중값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 3,344명을 무작위로 표집한 후 2014년 4월말 현재 국가 주민등록인구통계기준 성ㆍ연령ㆍ권역별 비례할당 후 2,400명 표본수(목표할당)에 맞춰 가중치를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서울/경기/인천 각 ±3.5%p다[응답률 : 서울(3.0%), 경기(2.7%), 인천(3.0%)].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