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자체, 문화체육계, 남북교류.대북지원 재개
상태바
지자체, 문화체육계, 남북교류.대북지원 재개
  • 이신우기자
  • 승인 2015.05.04 07: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북한과의 사회·문화교류 및 인도적 지원사업을 허용함에 따라 그동안 중단된 자치단체와 문화체육계 등 각 분야의 남북 교류 및 대북지원 사업이 활기를 띨 전망이다. 통일부에 따르면 광복 70주년이자 분단 70주년을 맞은 올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문화와 역사, 스포츠 등의 분야에서 남북교류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나아가 자치단체 및 민간단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인도적 지원사업도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지자체의 사회·문화 교류와 인도적 협력사업을 확대하고 민간 교류에 언론인의 참여 및 동행 취재도 허용하기로 했다. ● 지자체 대북교류사업 본격 채비 이에 따라 각 자치단체들이 개별적으로 추진해오다 금강산 관광객 피살사건 또는 5.24 조치 등으로 중단된 다양한 형태의 대북 교류 및 지원사업이 조만간 재개될 전망이다. 경기도는 개성한옥보존사업, 말라리아 공동방역, 개풍양묘장 조성 등 3개 사업을 최대한 빨리 재개하기 위해 현재 통일부 등 관계기관과 접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사업은 지난해 북측과 합의 단계까지 갔으나 인천아시안게임 응원단 문제 등으로 마찰이 생기면서 무산된 바 있다. 특히 개성한옥보존사업은 남북 전문가와 유네스코 등 국제기구가 참여하는 학술회의를 북한에서 열고 개성한옥을 복원하는 사업으로, 현재 개성에는 한옥 300여가구가 온전하게 밀집된 형태로 남아 있다. 2004∼2007년 북한에 농기계 보급과 축산시설 지원사업을 벌인 전북도는 이번 정부 발표에 따라 대북지원사업 재개를 위한 검토에 들어갔다. 전북도는 그간 황해남도 신천군에 농기계와 영농자재를 지원하고 평안남도 남포시에 돼지공장을 신축해 주는 등 3차례에 걸쳐 33억2600여만 원 규모의 지원사업을 벌였다. 전북도는 또 도내 대북지원단체로 승인을 받은 원불교 등과 함께 추가사업을 발굴하고 이를 추진할 방침이다. 전남도는 한반도의 땅끝인 전남과 북한의 땅끝을 관할하는 함경북도와의 교류 및 협력사업을 약칭 ‘땅끝협력’으로 명명하고 이들 지역의 산모와 불우 아동에게 미역과 쌀을 보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땅끝협력사업은 남북통일과 민족공동 번영에 기여하는 사업으로 정부가 대북지원사업을 확대 허용한 만큼 자신감을 갖고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나진∼하산 프로젝트’ 참여 방안을 모색 중인 부산시는 정부의 대북교류 허용 확대 방침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보였다. ‘나진∼하산 프로젝트’란 북한 나진과 러시아 하산을 철도로 연결해 시베리아 횡단철도(TSR)를 이용해 유럽까지 수송하는 해륙복합물류수송 협력사업. 경북도는 북한에서의 사방사업, 산림사업, 물사업 등을 추진할 목적으로 통일부 등과 협의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도 관계자는 “통일 전 신뢰 확보와 통일 후 통합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크다고 생각한다”며 “지방자치단체들의 자매결연 등 교류가 통일 전 신뢰와 통일 후 통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 문화·공연·학술교류도 시동 2011년 남북한 청소년 오케스트라 공연을 추진한 바 있는 원형준 ㈜린덴바움뮤직 대표가 광복 70주년을 맞아 남북이 함께하는 판문점 평화음악회를 추진중이다. 8월 15일 공동경비구역(JSA)에서 베토벤 교향곡 제9번 ‘합창’‘과 ‘아리랑’을 연주하는 음악회다. 남측 오케스트라 70명, 북측 합창단 70명이 함께한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원 대표는 지난달 통일부로부터 북측과 평화음악회 협의를 위한 북한주민접촉을 승인받은 상태다. 판문점 중립국 위원회와 유엔군 사령부는 남북 정부의 승인이 있을 경우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오는 30일 중국 옌지(延吉)에서 위안부 관련 남북한·중국·일본 학술회의를 연다. 동북아역사재단은 과거에도 북한과 연계해 학술회의를 한 적이 있긴 하나 위안부를 주제로 만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에서 누가 참석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 체육계, 국제대회 계기로 북한팀 참가 전망 오는 7월 광주에서 열리는 하계유니버시아드 대회에는 북한 선수단이 참가할 예정이다. 북한 선수단이 국내에서 열리는 종합 체육대회에 참가하는 것은 지난해 9월 인천 아시안게임 이후 약 10개월 만이다. 북한은 육상, 다이빙, 기계 및 리듬체조, 탁구, 유도 등 개인 종목과 여자축구, 핸드볼 등 단체 종목까지 모두 8개 종목에 선수 75명, 임원 33명 등 총 108명의 선수단을 보낼 계획이다. 최근 10년간 열린 하계유니버시아드에 북한은 빠짐없이 참가해왔지만 선수단 규모는 평균 45명 선에서 두 배 이상 늘렸다. 하지만 개·폐회식 남북 선수단 동시 입장이나 단일팀 구성, 판문점 성화 봉송, 북한 응원단 참가 등의 실현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세계태권도연맹(WTF)은 12일부터 18일까지 러시아 첼랴빈스크에서 열리는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개막식에 북한 IOC 위원인 장웅 국제태권도연맹(ITF) 총재와 ITF 시범단을 공식 초청한다. WTF 소속 국가협회가 장웅 총재 등 북한 주도의 ITF측 인사를 주관 대회나 행사에 초청한 적은 있지만 WTF에서 이들을 공식 초청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지난해 8월 제2회 유스올림픽이 진행 중이던 중국 난징에서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 입회하에 조정원 총재와 장웅 총재가 태권도 발전을 위한 의향서에 서명한 뒤 첫 번째 실천적 조처다. 의향서의 뼈대는 앞으로 WTF와 ITF에 소속된 선수들이 서로의 경기 규칙을 준수하면 양 단체가 주최하는 대회와 행사에 교차 출전할 수 있게 허용하기로 했다. 이밖에 한국유소년축구연맹은 8월 경주에서 열리는 국제유소년축구대회에 북한팀이 참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참가대상이 12세 이하 유소년들로 정치적 부담이 덜하고 민족간 교류란 명분을 살릴 수 있는 만큼 연맹측은 북한의 참가를 기대하고 있다. 실제 북한의 유소년 축구선수 육성기관인 북한국제축구학교의 단장격인 명예교장으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는 것이 연맹의 설명이다. 연맹은 아시아축구연맹(AFC)을 통해 다시 한번 공식초청장을 보낼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