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인천항 크루즈 전용 터미널 ‘개점휴업’
상태바
인천항 크루즈 전용 터미널 ‘개점휴업’
  • 인천/ 맹창수기자
  • 승인 2019.10.10 11: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인천항만공사, 사업비 1천억 투입 불구 개장후 2척만 기항
내년 15척 중 6척은 한중 크루즈로 운항 불투명…혈세낭비 지적

<전국매일신문 인천/ 맹창수기자 > 정부와 인천항만공사가 1000억 원이 넘는 사업비를 들여 수도권 최초로 건설한 인천항 크루즈 전용 터미널이 개점휴업 상태여서 혈세 낭비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9일 인천항만공사에 따르면 인천항 크루즈터미널은 개장일인 지난 4월26일 11만4000t급 ‘코스타 세레나’호가 운항한 이후 6개월 만에 처음으로 최근 같은 배가 중국 상하이(上海) 등지로 출항했다.

올해 말까지 기항이 예정된 크루즈도 이달 하순 2척, 내달 초순 1척을 합쳐 3척에 불과하다.

 해양수산부와 인천항만공사는 국비 356억 원을 포함한 총사업비 1186억 원을 들여 이 크루즈 전용 터미널을 건설했다.

터미널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22만5000t급 크루즈선이 정박할 수 있는 길이 430m 부두와 지상 2층, 연면적 7364㎡ 넓이의 청사를 갖췄다.

 그러나 크루즈선이 운항하는 날만 문을 열고 다른 날은 활용하지 않는 탓에 지난 7∼8월에는 대합실과 입국장 주변 천장에 결로 현상과 곰팡이가 피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인천항만공사는 2017년 한·중 간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갈등이 불거진 이후 중국발 크루즈의 인천 기항이 3년째 끊긴 점을 크루즈 유치 부진의 주원인으로 꼽고 있다.

 중국발 크루즈의 인천 기항이 무더기로 취소되면서 2017년에는 17척(관광객 3만 명), 지난해에는 10척(2만2000명)의 크루즈만 인천을 찾았다는 것이다.

 크루즈 기항은 부두를 사전에 확보해야 하는 탓에 최소 6개월 전 항만 당국과 일정을 조율하는 점을 고려하면 현재까지 나타난 내년 전망도 암울하다.

인천항만공사에 내년 인천 기항 의사를 밝힌 크루즈는 총 15척인데 이 중 6척은 월드 크루즈가 아닌 한-중 크루즈여서 운항 여부가 불투명하다.

 이에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부산이나 속초에 기항하는 크루즈와 달리 인천을 찾는 크루즈는 중국 관광시장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다”면서 “중국 당국의 금한령이 풀리면 크루즈 기항이 상당 부분 회복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인천/ 맹창수기자 mchs@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