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인천대, 개도국 기후금융 역량강화 및 사업개발 위한 ‘국제워크숍’ 성료
상태바
인천대, 개도국 기후금융 역량강화 및 사업개발 위한 ‘국제워크숍’ 성료
  • 인천/ 정원근기자
  • 승인 2019.11.26 10: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매일신문 인천/ 정원근기자>

우리나라가 보유한 폐기물처리 기술을 베트남,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몽골의 아시아 5개국과 아프리카 르완다에 접목, GCF(녹색기후기금) 펀딩에 도전하는 5일간의 역량강화 및 사업개발을 위한 워크숍이 최근 종료됐다. 


인천대.KOICA.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공동 주최한 워크숍은 인천대 디지털경제연구소와 GAIA컨설트가 공동 주관했다. 워크숍에 참가한 6개국 정부 관계자들은 자국의 폐기물처리 현황과 문제점, 사업대상 후보지 등에 대한 보고서를 행사 전에 제출했으며, 행사 중에는 보다 신뢰성 있는 데이터 확보를 위해 본국과 수시 연락을 취하는 등 열의를 보였다.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주관한 인천대학교 무역학부 이찬근교수(사진)는 행사의 성과에 대해“행사 전 개도국 폐기물 처리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없었다”라며“바로 이 때문에 GCF에서 자체 펀딩으로 폐기물 사업을 추진한 적이 없고, 우리나라는 KOICA 재원으로 스리랑카에서 무상원조 사업을 추진했을 뿐”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나“워크숍 기간 중 라오스, 캄보디아, 르완다를 대상으로 간단한 캐쉬플로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지를 무상으로 확보할 수 있다면 기존의 대규모 매립지를 대상으로 에너지 전환사업이 가능하고, 신규 매립지에 대해서는 GCF의 저리융자가 결합된다면 위생매립장의 건설도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덧붙였다.


특히“물론 제약요인이 많이 남아 있다. 해당국 정부에서는 메탄가스로 생산한 전력을 적정 가격으로 매입해주는 조치를 취해야 하고, GCF에서는 탄소저감효과를 투자자의 탄소배출권으로 인정해주는 유연한 조치를 검토해야 한다”며“바로 이 때문에 원만한 사업추진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논의의 테이블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이번 워크숍의 성과를 정밀하게 진단하고, 공유하기 위해 오는 12월6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자원순환기술연구소의 권희동부장, 이경호박사를 위시한 국내 전문가와 함께 종합정리 세미나를 개최하고, 여기서 취합된 내용을 토대로 GCF 전문가팀과의 협의를 거쳐, 향후 개도국이 취할 수 있는 로드맵을 제시할 계획이다.


인천/ 정원근기자 wk-ok@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