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경기도,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 초동대응태세 돌입
상태바
경기도,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 초동대응태세 돌입
  • 한영민 기자
  • 승인 2014.10.01 10: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4시간 연락체계 유지, 유입 경로별 예찰 검사 강화, 홍보․교육 등 집중방역 실시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는 구제역 및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국내발생 위험이 큰 시기를 맞아 “구제역.조류인플루엔자 특별방역 기간”으로 정한 올해 10월부터 내년 5월까지 8개월 동안 24시간 상황실 운영 등 강도 높은 차단방역을 실시한다. 도 축산연구소는 이와 관련해 구제역.AI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대응이 가능하도록 26팀 52명으로 신고대응반, 정밀진단반, 역학조사반을 지역별로 편성, 방역능력 제고를 위해 연 2회 합동가상훈련(CPX)을 실시하는 등 특별방역대책을 수립하였다. 위험요소별로 소독.예찰.검사를 강화하여 다양한 질병유입경로를 사전에 차단하고자 조기경보시스템(Early-Warning)을 운영한다. 구제역은 농가별 백신접종 확인검사를 확대하여 취약농가에 대한 접종지도를 개별적으로 실시하고, 감염축 조기검색을 위하여 도축장 출하가축에 대한 혈액 모니터링 검사를 강화한다. 고병원성 AI는 도내 철새도래지(10개소) 야생조류와 전통시장(23개소) 출하 가금류, 소규모 방역취약 농가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 검사 실시하고, 특히 철새군집지 인근지역, 과거 발생지역 등을 “AI방역 관리지구”로 선정하여 사육 오리 및 닭에 대한 예찰검사를 강화한다. 오리 출하전 또는 농장간 이동시 사전예찰 및 정밀검사를 실시하고 “가금이동승인”을 받은 후 이동토록 하는 등 발생위험이 큰 오리에 대하여 강도 높은 차단방역을 실시하게 된다. 특히 매주 수요일 “소독 및 방역지도의 날”을 운영, 소독지원반과 방역 지도반을 편성하여 가축밀집장소 및 발생위험지역 등에 소독 지원을 하고 축산농가.관련업체.축산관련자 등에 대한 방역관리 실태점검 및 방문 지도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농가의 자율방역 의식 고취 및 취약농가 방역체질개선을 위한 교육.홍보를 강화하고, “계열사 책임방역관리제도” 정착을 위하여 계열화 주체에 대한 소속농가 자체방역프로그램 점검 강화 등 방역 주체별 책임방역체계 확립으로 조기에 청정국 지휘가 획득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올해 고병원성 AI는 11개 시도, 38개 시군에서 212건이 발생하여 548농가 13,961천수를 살처분하였고, 구제역은 경상도 3개 시군에서 3건이 발생해 2,009두를 살처분한 후 9월 4일 전국 해제되었으나, 9월 24일 전남영암에서 다시 고병원성AI가 발생되어 위기경보 “경계” 단계가 발령 중에 있다. 도는 올해 1월 28일 고병원성AI가 발생하여 69농가 2,928천수를 살처분 하였고 7월 26일 방역대가 해제된 이후 아직까지 발생은 없는 상황이다. 한영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