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데스크칼럼-인천 '해양수도' 지향해야
상태바
데스크칼럼-인천 '해양수도' 지향해야
  • 정원근/ 인천본사 정경부국장
  • 승인 2014.07.07 02: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은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의 관문도시이다. 우리나라 타 지역과는 차별화한 제도와 여건을 조성한 도시이다. 중국의 수도인 베이징(北京)의 관문도시이며, 해양도시인 텐진(天津)과 유사하다. 텐진의 신개발구 ‘빈하이(濱海) 신구(新區)’는 상하이(上海) 푸둥(浦東)과 같은 국가급 전략개발 구역이며, 우리나라의 전략개발 구역인 인천경제자유구역(Incheon Free Economic Zone)과 유사하다.지난 1883년 인천항이 개항되면서 제국주의 열강은 인천에 확보한 조계지(租界地)를 중심으로 일본풍과 중국풍 등 자국 스타일의 건축물로 만들었다. 조계를 통해 서구 문명의 세례를 일찍 받은 인천은 서양 문물의 전진기지가 됐다. 그래서 철도를 위시해 전보, 전화, 근대 교육 등은 우리나라 최초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닌다. 과거 인천은 개항장과 부둣가 문화 때문에 유동인구가 많았다. 그러다 보니 타 도시에 없는 개방성과 포용성을 가져왔고 경쟁력과 위기의식, 자유정신과 적응능력 등도 생긴 복합적인 문화적 유전자(DNA)를 가진 도시이다.인천은 21세기 들어 인천국제공항과 무역항인 인천항 그리고 많은 유.무인도로 이루어진 국제해양도시이다. 이러한 해양도시 인천이 타 도시에 비해 해양관련 조직은 1국(항만공항해양국) 4개과(항만공항정책과, 해양도서정책과, 항만공항시설과, 수산과)로 소부처를 형성하고 있다. 이외에 옹진군은 해양수산과, 강화군이 수산녹지과, 중구청은 항만공항해양과, 동구청이 전략사업추진실(해양수산팀), 남동구청은 농수산개발과 등의 행정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난 한 해 우리나라의 수산업은 연안해역의 오염심화와 자원남획으로 인한 수산자원의 격감, 그리고 국민들의 웰빙욕구 표출로 인한 수산물 소비위축이 그 어느 해보다 어업인들에게 어려운 한 해였다. 더욱이 중국어선의 북방한계선(NLL) 집단불법조업, 어패류 산란장 상실, 간척매립에 따른 어장축소 등으로 지난 상반기까지 꽃게 어획량이 급감해 다른 때 보다도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이럴 때일수록 안정적인 수산식품 공급 및 수산자원관리 및 어촌복지 개발을 위해 전담부서 등의 조직확대를 통한 업무효율 증대 및 행정 일원화에 따른 주민행정 신뢰성 강화가 필요하다.인천 바다는 조석간만의 차가 심하고 천해 간석지가 발달해 있어 패류 및 꽃게 등 각종 어.패류 등이 주로 생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적인 특성과 많은 도서지역의 특성을 살린 어촌관광활성화로 소득 다양화 방안 강구로 부가가치를 만들 수 있다. 게다가 해양도시 인천에 해양박물관 건립이나, 해양수산부 유치 등 해양수산정책업무에 공무원이나 정치권의 관심과 움직임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 1일 민선 6기 시대를 열렸다. 인천시나 각 군.구는 기존 해양수산조직을 확대하는 정책이 절실할 때이며, 인천의 항만과 해양.수산의 각종 현안이 이번에는 해결 실마리를 찾게 되지 않을까 많은 기대를 걸고 있다. 실제로 해양관광개발 및 레저, 어항시설 확충, 감소되는 수산자원 회복사업 추진, 어장환경개선, 해양환경 보전 등 각종 현안사항과 국제적 글로벌 추세에 따른 해양수산업의 어려운 여건을 슬기롭게 타개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특히 FTA, WTO 등 급변하는 국내외 해양수산여건에 적극 대응하고 해양수산사업 측면에서 점증하는 어업인 요구에 부응함과 동시에 공항과 항만, 도서와 해양수산, 그리고 해양레저 등을 활용한 일자리 창출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서도 이번 인천의 민선 6기 시대에 해양수산조직을 확대.재정비해 ‘해양도시 인천’의 미래를 향한 재도약을 위해 시급히 준비해야 할 때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