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결행시 분당 사태 가능성 … 정치권 안팎 '쏠린눈'
상태바
결행시 분당 사태 가능성 … 정치권 안팎 '쏠린눈'
  • 서정익기자
  • 승인 2014.09.16 05: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정치민주연합의 비상대권과 원내지휘권을 쥐고 있는 박영선 원내대표가 난데없이 탈당문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난마처럼 얽힌 정국이 더욱 꼬여들어가고 있다. 경위야 어찌됐든 제1야당의 최고당직자가 탈당이라는 선택을 입에 올린 일이 예사롭지 않다. ‘비상식적’이기까지 한 탈당검토 발언으로 여야는 물론 국민은 박 원내대표의 입만 바라보는 형국이 되고 말았다. 과연 박 원내대표가 탈당을 실행에 옮길 것인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다만 이것이 현실화할 경우, 당장 제1야당이 쪼개지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는 시나리오에 정치권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른바 야권발 정계개편의 신호탄이 될지 여부다. 사사건건 반목해온 당내 계파간 갈등이 박 원내대표의 탈당으로 중대 변곡점을 맞으면서 분당이라는 극단적인 사태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에서다. 2003년말 열린우리당 분당과 2007년 대선 길목의 집단 탈당 사태 등 수년간 분열과 통합을 반복해온 야권이 또한번 ‘재구성’의 격랑 속으로 빠져들 수 있다는 시나리오다. 그동안 당내에서 강경파와 온건파로 대변돼온 계파갈등이 위험수위를 넘나들 때마다 야권 안팎에서는 “이러다 당이 둘로 쪼개지는 게 아니냐”는 말이 심심치 않게 나돌곤 했다. 박 원내대표는 두 차례의 세월호 특별법 협상 불발과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의 비대위원장 영입 무산 파동을 겪으면서 “당의 폐쇄성이 이 정도일 줄 몰랐다. 차기 총^대선에서도 희망이 없다”며 “이런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겠는가”라고 주변 인사들에게 토로했다는 후문이다. 앞서 그가 비대위원장 수락 일성으로 선언한 ‘탈 투쟁정당’ 노선은 강경파의 거센 반발에 직면, 좌절된 상태이다. 야권 일각에서는 ‘박영선 신당’이 현실화 한다면 당내 중도적 온건파를 비롯, 일부의 동반탈당 가능성을 점치기도 한다. 이들 그룹은 김한길 안철수 전 공동대표와 가까운 인사들로, 박 원내대표가 두 전 공동대표와 손을 잡게 되는 게 아니냐는 ‘섣부른 설”마저도 일부에서 나돌아다니고 있다. 김 전 대표는 2007년 대선 국면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결별을 선언하며 ‘비노(비노무현) 중도노선’을 내세워 23명 의원들의 집단탈당을 주도한 바 있고, 안 대표는 독자세력화를 추진하다 지난 3월 김 전 대표의 민주당과 전격 통합했으나 당내에서 안착하지 못한 채 재기를 위해 ‘절치부심’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박 원내대표의 탈당이 현실로 이어지더라도 ‘찻잔 속 태풍’에 그치면서 야권 지형 재편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라는 관측도 만만치 않다. 당장 온건파 의원들은 박 원내대표의 탈당설 자체를 반신반의 하며 합류 가능성에 일단 선을 긋고 있고, 김 전 대표나 안 전 대표측도 “전혀 생각이 없다”고 펄쩍 뛰고 있다. 20대 총선이 2년 가까이 남은 상황에서 의원들이 ‘눈치 보기’ 속에 쉽사리 움직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한 중진 의원은 “지금 상황에서 누가 선뜻 당을 떠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박 원내대표 스스로 한 언론 인터뷰에서 “야권 재편을 구상하느냐”는 질문에 “내가 지금 그런 엄두를 어떻게 내느냐”며 “살아남기는 커녕 쫓겨나는 상황에서 정치적 장래를 생각할 겨를이 없다”고 일축했다. 박 원내대표측 한 인사도 “새로운 세력화 시도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겠지만 박 원내대표가 당장 그런 것까지 염두에 두고 움직이는 것 같진 않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