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투자 출연기관 장애인 의무고용 미달"
상태바
"투자 출연기관 장애인 의무고용 미달"
  • 서정익기자
  • 승인 2014.11.19 12: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투자 출연기관이 장애인 고용에 매우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회 최판술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중구1 사진)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투자^출연기관 장애인고용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년도 서울시 장애인 의무고용률은 2.96%로 미달인원이 12명이었던데 반해, 2014년도 9월 기준 고용률은 2.94%,로 낮아지고 미달인원은 44명으로 전년대비 3.6배 늘었다. 서울도시철도공사는 상시근로자가 6687명으로 200명의 장애인을 고용해야 하지만 176명만 고용해 장애인 고용률이 2.63%에 그쳤다. 서울시립교향악단의 경우 의무고용인원이 3명이지만, 최근4년 간 단 한명도 채용하지 않아 7200만 원의 고용부담금을 납부하고 있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시 산하기관에서 납부한 고용부담금 납부액만 약 4억 883만 원에 달하며 13년도의 경우 고용부담금으로 약 2억 5816만 원을 예산 편성했고, 올해 부담금 고지금액은 약 1억 1982만 원이다. 내년도 고용부담금은 도시철도공사 만해도 약 1억 9000만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공공기관이 부담금을 내야함에도 장애인 채용에 소극적인 것은 어차피 예산으로 내기 때문이다. 서울시에서는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 지원 조례’를 제정하면서 시 투자^출연기관은 상시고용근로자의 100분의 5에 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지만, 이번 조사에서 정원 50명 이상의 15개 기관 모두가 서울시의 의무고용률 기준(5%)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최판술 의원은 “서울시는 산하기관이 장애인 고용기준에 미달하고, 예산으로 부담금을 납부할 경우에 자체 경영평가를 통해 성과급을 삭감하거나 기관장 징계 등의 실질적인 제재방안을 마련하고 장애인 고용촉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