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나눔과 배려 작은 행복
상태바
나눔과 배려 작은 행복
  • 최재혁 지방부 부국장 정선담당
  • 승인 2015.12.17 14: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11월 10일 영국의 자선지원재단(CAF)이 2015년에 기부와 나눔을 가장 잘 실천한 국가로 미얀마를 선정했다. 재단은 매년 전 세계 145개국 15만명을 대상으로 세계기부지수를 조사·발표하는데 미얀마를 1등 나눔국가로 선정한 이유로 미얀마 사람들 중 92%가 기부 경험을 갖고 있다는 것을 들었다. 재단은 이 조사 결과가 "부와 관용에 대해 갖고 있던 기존의 통념이 틀렸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같은 조사에서 한국은 64위를 차지했다. 등수가 중요한 건 아니지만 우리가 상대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호의적이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 같아서 약간 씁쓸하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한국에서도 기부와 나눔이 건강한 시민의 덕목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대학입시에서 수험생의 자원봉사 경험이 중요한 선발 기준이 된 지 오래되었고, 초·중등 교육과정에서는 나눔을 강조하고 있다.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기부 내용은 후보자의 도덕성을 평가하는 요소나 흠결을 상쇄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기업들은 임직원들의 자원봉사와 기부를 통해 자부심을 갖도록 하며, 회사의 이미지와 평판을 개선하려고 한다. 겨울이 되면 광화문광장 앞에 '사랑의 열매' 온도계가 세워지고, 목표 금액을 채울 때까지 서서히 올라가는 빨간 막대를 보며 우리 사회의 품격을 스스로 대견해한다.

그러나 미얀마가 1등 나눔국가로 선정된 것은 이 나라에서 '나눔문화 확산'을 위해 사랑의 온도계를 더 많이 설치했거나, 대학입시에서 더 많은 점수를 가중치로 부여하기 때문은 아닐 것이다. 변변한 모금기관이 있는 것도 아니고, 기부자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때문도 아니다. 이들이 나누는 것은 단지 일상의 먹거리 수준이며, 이러한 나눔은 이들의 일상으로 다시 자리 잡고 있다. 이것이 일인당 GDP가 우리나라의 20분의 1도 채 안 되는 이 나라가 1등 나눔국가가 된 이유이다.

굳이 가난한 아이들의 얼굴을 클로즈업해서 보여주는 광고가 아니더라도, 괜히 고운 얼굴에 검댕을 묻혀가며 연탄을 나르는 행사를 치르지 않더라도, 무엇이든 이웃과 나누던 마음속 습관을 회복하는 것만으로도 우리 사회는 충분히 나눔 1등이 될 수 있다.

2015년 달력도 이제 한 장밖에 남지 않았다. 돌이켜보면 기뻤던 일, 슬펐던 일, 행복했던 일, 감사할 일, 후회할 일, 아팠던 일…, 많은 일들이 뇌리를 스쳐 지나간다. 올 한 해 열심히 살았다고, 최선을 다했다고 자부해보지만 아픈 기억들이 먼저 떠오르고 후회할 일들이 꼭 생긴다.

인간은 누구나 행복하게 살고 싶어 한다. 그래서 직장에서, 가정에서 열심히 생활하며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 참선을 하며 도를 닦는 것도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것이다. 그러나 이와 동반되는 것이 경제적인 여유이다. ‘사흘 굶어 도둑질 안 하는 사람이 없다’는 옛말이 있다. 가난은 서러운 일이다. 누군들 행복해지고 싶지 않고 경제적인 여유를 갖고 싶지 않겠는가, 하지만 내 뜻대로 이뤄지지 않기에 세상살이가 힘든 것이다. 이런 이웃들에게 도움은 주지 못할망정 그들의 마음에 상처를 주는 말, 행동을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최복현의 저서 행복찾기 ‘작은 것도 나눌 수 있는 마음의 행복’편에는 성 프란시스의 제자 중 안제로라는 소년이 혼자 있을 때 도둑이 들어 ‘남들은 땀 흘려 일하는데 너희는 남의 것을 훔쳐 먹으려는 것이냐’라고 호통친 이야기를 한다. 이에 프란시스 선생은 칭찬 대신 ‘지금 가서 도적들에게 빵과 포도즙을 주고 오라’고 말한다. 소년이 빵과 포도즙을 그들에게 주자 이들은 그것을 먹지 않고 제자를 따라 수도원으로 왔고, 회개하여 프란시스의 제자가 됐다는 일화가 있다.

받는 이보다 주는 이의 마음이 훨씬 평화롭다. 남에게 뭔가를 줄 수 있다는 것은 가슴 뿌듯하고 아름다운 일이다. 연말이다. 평소에도 어려운 이웃을 돌보고 살펴야겠지만 추운 겨울은 더 신경 써서 어려운 이들을 둘러보아야 할 시기다. 줄 것이 없다면 외로운 이의 말동무가 돼 들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한 해를 마무리하며 나보다는 먼저 이웃을 생각하고 챙기는 아름다운 마음, 받으려하기보다 주려고 애쓰는 갸륵한 마음, 그 마음에 작은 행복이 찾아오지 않을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