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野 비노 "무늬만 탕평" 친노체제에 내심 '불만'
상태바
野 비노 "무늬만 탕평" 친노체제에 내심 '불만'
  • 서정익기자
  • 승인 2015.02.15 0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친노계·주류를 대표하는 문재인 대표가 당의 전면에 나서면서 2선으로 밀린 새정치민주연합 비노계 의원들의 ‘암중모색’이 시작됐다. 이번 전대에서 사실상 박지원 후보를 지지했던 이들에게 ‘문재인 체제’가 마냥 달가울 리는 없으나 섣불리 지도부에 반기를 드는 것도 쉽지 않은 탓이다. 이 때문에 문 대표의 지난 일주일간 행보가 마뜩지않아도 드러내지 못한 채 속으로 삭이는 모습이 감지된다. 무엇보다 비노계·비주류 인사들은 문 대표가 후보 당시 약속한 ‘탕평인사’를 지키지 않고 있다고 주장한다. 문 대표가 주요 당직에 86(80년대 학번·60년대생)그룹, 손학규계 등을 임명해 겉으로는 친노계를 뒤로 물린 것 같지만 당직을 맡은 인물들이 진정한 의미의 ‘비노’는 아니라는게 이들의 주장이다. 수도권의 한 초선 의원은 15일 “당직에 임명된 의원들을 친노계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전대 당시 물밑에서 문 대표를 도운 사람들 아닌가”라며 “제대로 된 탕평인사라고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진정한 탕평인사를 하고 싶다면 김한길계·안철수계 의원을 당직에 임명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비주류가 이러한 불만을 드러낼 수 없는 이유는 갓 출범한 지도부에 드러내놓고 ‘쓴소리’를 하면 자칫 ‘발목 잡기’로 비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전대 직후 컨벤션 효과 덕에 당 지지율과 문 대표의 대선 주자 지지도가 상승세를 탔다는 점도 비노계를 움츠러들게 하는 요인이다. 결국 김한길·안철수 전 공동대표, 박영선 전 원내대표 등 비주류의 핵심인물들과 이들을 따르는 의원들은 문재인 지도부가 안착하는 동안 최대한 당내 현안과 거리를 둔 채 각자의 활로를 암중모색할 가능성이 크다. 이들이 ‘선명한 야당’을 강조하는 문 대표 및 친노계와는 달리 이념적으로 중도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당분간은 정치적 현안보다는 경제민주화나 민생 등 정책적인 행보를 할 것이라는 분석도 설득력을 얻는다. 실제로 김 전 대표는 최근 자신의 SNS에 통일·외교·복지 등 정책적인 이슈와 관련 있는 글을 꾸준히 올리고 있고 안 전 대표와 박 전 원내대표는 한국 경제의 체질개선 해법을 모색하는 좌담회를 공동으로 기획 중이다. 비노계 의원 측 관계자는 “4월 보궐선거가 다가오면 비주류도 어떤 식으로든 정치적 이슈에 목소리를 내야 할 것”이라며 “그때까지는 민생정책에 집중하는 동시에 주류에 맞설 만한 영향력을 키우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