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경기도축산진흥센터, 식육전용 한국형 비육마 연구개발 박차
상태바
경기도축산진흥센터, 식육전용 한국형 비육마 연구개발 박차
  • 한영민기자
  • 승인 2021.12.07 15: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주 퇴역마. [경기도축산진흥센터 제공]
경주 퇴역마. [경기도축산진흥센터 제공]

경기도축산진흥센터는 식육 전용 ‘한국형 비육마’ 품종 개발과 말고기 시장 활성화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비육마(육용마)는 말의 여러 품종 중 냉혈(Cold blood) 종에 속하는 품종으로 국내 대표 품종으로는 제주조랑말이 있으나 지역이 제주도에 한정되어 있고, 덩치가 다소 작아 고기 생산량이 적다는 점, 야생성이 남아 축사에서 사육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퇴역한 ‘경주 퇴역마’가 처치 곤란을 겪고 있다는 점도 비육마 시장 활성화의 필요성으로 대두되고 있다. 

해마다 약 1400여 두 이상 경주 퇴역마가 발생하고 있고, 국내 승용마 시장에 무분별하게 잠식해 승용마 시장가격 형성을 교란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이에 센터는 외래 전문 비육마 중 대형종에 속하는 벨지언 교잡(Cross breeding) 말 15두(암마 10두, 거세마 5두)와 경주 퇴역마(더러브렛) 5두를 구입, 내년 5월까지 ‘비육마 사양시험’을 추진 중이다.

아울러 내년 10월까지 ‘말고기 시장 분석 및 대중화 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추진, 수요·공급 측면에서의 말고기 시장 분석을 통한 대중화 전략을 수립하고, 한국인 입맛에 맞는 말고기 제품을 개발하는 데도 주력할 방침이다.

안용기 축산진흥센터 소장은 “가축법정전염병 만연으로 축산물 소비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큰 만큼, 안전한 대체 축산물 개발이 시급하다”며 “말고기의 경우 질병에 대체로 안전할 뿐만 아니라, 웰빙시대 트랜드에 맞는 단백질 공급 육류의 역할을 충분히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국매일신문] 한영민기자 
han_YM@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