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서울 쓰레기소각장 '기피시설' 아닌 '랜드마크'로
상태바
서울 쓰레기소각장 '기피시설' 아닌 '랜드마크'로
  • 임형찬기자
  • 승인 2022.08.17 16: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규 자원회수시설 건립 청사진 발표
2026년 건립·2027년 1월부터 운영
내달 후보 선정...'직매립 제로' 실현
100% 지하서 소각...전망대 등 설치
도심 광역자원회수시설 개념도. [서울시 제공]
도심 광역자원회수시설 개념도. [서울시 제공]

서울시의 쓰레기 소각장 건립 청사진이 나왔다.

시는 신규 자원회수시설(생활폐기물 소각장)을 혁신적 건축 디자인을 적용한 지역 명소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시설은 지하화하고, 지상에는 업무시설과 공원을 갖춘 복합문화타운을 조성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시는 이런 내용을 담은 신규 자원회수시설 건립 청사진을 17일 발표했다.

시는 기존 4개 광역 자원회수시설(양천·노원·강남·마포)에 더해 신규 자원회수시설을 2026년까지 건립한 후 2027년 1월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입지선정위원회가 다음 달 최종 후보지를 발표한다.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이 건립되면 수도권매립지로 가는 폐기물을 모두 소각할 수 있어 '직매립 제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시는 신규 자원회수시설을 디자인, 콘텐츠 등 모든 측면에서 매력적인 랜드마크로 만들어 기피시설이 아닌 기대시설로 조성하는 게 목표다. 

시는 소각시설은 100% 지하에 설치하고, 지상부에는 국제 현상 설계 공모를 거쳐 세련된 건축 디자인의 복합문화타운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업무·문화 시설과 공원 등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되는 시설을 유치하고, 자원회수시설의 특징이자 기피의 상징이었던 높은 굴뚝에는 전망대·회전 레스토랑·놀이기구 등을 만들어 관광 아이템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소각시설에는 첨단 기술이 집약된 오염방지설비와 자동화시스템을 적용해 대기오염물질·악취·소음을 최소화한다. 특히 오염물질 배출기준을 법적 허용기준 대비 10∼50% 수준으로 강화해 기존 자원회수시설은 물론 유럽 및 일본의 시설보다도 엄격하게 관리할 방침이다. 주변 거주지 등과 분리된 작업차량 전용 진·출입 도로도 개설한다.

지역 주민에게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약 1천억원을 투자해 도서관·실내체육시설 등 지역 주민이 원하는 편익시설을 도입하고, 연간 100억원 규모의 '주민지원 기금'도 조성해 아파트관리비와 난방비 등 주민 복리증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시설 건립 전에는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환경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운영 과정에서는 사후환경영향조사와 주민건강영향조사 등을 실시해 환경변화와 건강영향을 조사하고 투명하게 공개한다.

입지선정위원회는 작년 3월부터 자치구별 최소 1곳씩 36개 후보지(개소당 최소 면적 1만5천㎡ 이상)를 발굴했으며, 5개 내외로 후보지를 압축한 후 최종평가를 거쳐 9월 추석 전후로 최적 후보지를 발표한다. 현재까지 시설 유치를 희망하는 자치구는 없다.

서울시는 최적 후보지 발표 이후 입지선정위원회의 후보지 타당성 조사 과정과 결과를 20일 이상 주민에게 공고·공람할 예정이다. 또한 지역 주민이 참여하는 '주민소통협의체'를 구성하고 '찾아가는 주민설명회'를 수시로 개최하는 등 자원회수시설 후보지 선정 과정과 기준을 상세하게 소개할 계획이다. 자원회수시설 지하화와 랜드마크 조성에는 주민 의견을 최우선으로 반영한다. 

시 관계자는 후보지 주민들의 반대 우려에 대해 "동의를 얻어야 한다는 규정은 없으나 최대한 주민들을 설득하며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유연식 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광역자원회수시설이 주민들로서는 기피하는 시설인 것이 현실이나 필요한 시설이라 시민들의 협조를 부탁하기 위해 설명회를 열게 됐다"며 "기존 4개 시설도 노후 시기가 다가와 어떻게 현대화할 것인가, 더 많은 혜택을 줄 것인가에 대해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세훈 시장은 "세계 최고의 랜드마크로 조성해 기피 시설이 아닌 기대시설로 전환되는 모범사례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임형찬기자 
limhc@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