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이태원 참사] 인파 밀집 AI로 위험감지…위기경보 안내
상태바
[이태원 참사] 인파 밀집 AI로 위험감지…위기경보 안내
  • 이신우기자
  • 승인 2022.11.09 16: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CTV·드론으로 위험 판단…2024년까지 기술 연구개발
정부, 연말까지 초기대응 시스템 개선 등 재난안전 종합대책 마련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실에서 열린 이태원 사고 코로나19 중대본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상황실에서 열린 이태원 사고 코로나19 중대본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파가 과하게 몰려 사고 위험이 있을 때 인공지능(AI) 기술로 감지해 위기경보를 보내는 방안이 추진된다.

행정안전부는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1㎡당 6명 이상'부터 위험할 수 있다는 기준을 제시했다.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특정 지역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운집했는지 AI 기술로 분석해 인파 집중도에 따라 위기단계를 정해 일정 기준을 넘어서면 위기경보를 발령하고 유관기관들이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는지를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교통정보와 휴대전화 기지국 정보, 드론 촬영 영상 등으로 인파 밀집도를 정확히 분석하고 위험도에 따라 관련 기관이 대처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태원 참사 이후 출범한 범정부 다중밀집 인파사고 예방 태스크포스는 실시간 다중 밀집도를 분석, 위험예측 시스템을 구축한다.

특정 지역에 많은 사람이 몰렸을 때 AI 기술을 접목한 CCTV와 드론으로 '군중 난류'(crowd turbulence) 위험을 판단해 현장에 있는 사람들의 휴대전화에 소리가 울리는 경보를 보낼 수 있도록 2024년까지 2년간 연구개발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군중 난류는 밀집도가 극도로 높은 상황에서 많은 사람이 움직이면서 발생하는데 맞닿은 사람들 간에 힘이 전달되면서 증폭되고 결국 도미노처럼 사람들이 쓰러지게 된다.

한편 정부는 이태원 참사 같은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연말까지 재난안전 종합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전국매일신문] 이신우기자 
leesw@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