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日 피고기업 빠진 '제3자 변제'...韓 재단이 배상한다
상태바
日 피고기업 빠진 '제3자 변제'...韓 재단이 배상한다
  • 이신우기자
  • 승인 2023.03.06 15: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스코 등 16개 기업 자발적 기부
대법 확정판결 피해자 15명에 지급
박진 "피해자 추모·교육·연구도 추진"
비판여론에 "日 새로운 사죄 능사 아냐"
일제 강제징용 피해배상 해법 발표하는 박진 장관 [공동취재]
일제 강제징용 피해배상 해법 발표하는 박진 장관 [공동취재]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국내 재단이 대신 판결금을 지급한다.

2018년 대법원 확정판결을 받은 피해자들은 총 15명으로 일본제철에서 일한 피해자, 히로시마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일한 피해자, 나고야 미쓰비시 근로정신대 피해자 등 3개 그룹이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6일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 관련 정부입장 발표' 회견을 열고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하 재단)이 2018년 3건의 대법원 확정판결 원고들에게 판결금 및 지연이자를 지급하고, 현재 계류 중인 관련 소송이 원고 승소로 확정될 경우에도 역시 판결금 등을 지급한다는 내용을 밝혔다.

재원은 포스코를 비롯해 16개가량의 국내 청구권자금 수혜 기업의 자발적 기부를 통해 우선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알려졌다.

박 장관은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고통과 아픔을 기억해 미래 세대에 발전적으로 계승해 나가기 위해, 피해자 추모 및 교육·조사· 연구 사업 등을 더욱 내실화하고 확대해 나가기 위한 방안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해법 마련 취지와 관련,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 이래 구축되어 온 양국간의 긴밀한 우호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앞으로 한일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보다 높은 차원으로 발전시켜 나가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는 강제징용 피해자분들께서 오랜기간 동안 겪으신 고통과 아픔에 대해 깊이 공감하며, 고령의 피해자 및 유족분들의 아픔과 상처가 조속히 치유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내 대법원 판결 이후 일본이 한국에 수출규제를 가하고, 한국 정부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를 통보한 데 이어 코로나19에 따른 인적교류 단절로 경색된 한일관계가 "사실상 방치되어 왔다"고도 지적했다.

[전국매일신문] 이신우기자 
leesw@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