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2분기 '불황형 성장'…수출보다 수입이 더 줄었다
상태바
2분기 '불황형 성장'…수출보다 수입이 더 줄었다
  • 김지원 기자
  • 승인 2023.07.25 10: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장률 0.6% 수출 1.8% 줄고 수입은 4.2% 감소
민간소비 0.1%↓·정부소비 1.9%↓·설비투자 0.2%↓
한은 "남은 두 분기 0.7%씩 성장하면 올해 1.4%"
지난 2일 오후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하다. [연합뉴스]
지난 2일 오후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하다. [연합뉴스]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크게 줄어 순수출(수출-수입)이 직전 분기보다 늘면서 2분기(4∼6월) 한국 경제가 힘겹게 0.6% 성장했다.

하지만 부진한 수출을 대신해 성장을 이끌었던 민간소비가 반년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서 하반기에 경기 흐름이 좋아질 것이라는 가능성을 장담할 수 없게 됐다.

한국은행은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분기 대비)이 0.6%로 집계됐다고 25일 발표했다.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발생과 함께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0%)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후 3분기(2.3%)·4분기(1.3%), 2021년 1분기(1.8%)·2분기(0.9%)·3분기(0.1%)·4분기(1.4%), 지난해 1분기(0.7%)·2분기(0.8%)·3분기(0.2%)까지 9개 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했다.

국내총생산 지출항목별 성장률. [한국은행 제공]
국내총생산 지출항목별 성장률. [한국은행 제공]

수출 급감과 함께 지난해 4분기(-0.3%)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지만, 민간소비 덕에 올해 1분기(0.3%) 반등한 뒤 두 분기 연속 역성장을 피했다.

2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음식·숙박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1% 줄었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앞서 작년 4분기 -0.5%에서 올해 1분기(0.6%) 반등에 성공했지만, 두 분기 연속 성장하는 데 실패했다.

정부소비도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 현물 수혜 위주로 1.9% 줄었다. 2000년 4분기(-0.4%) 이후 22년여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의류 등 준내구재와 음식·숙박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2분기 민간소비가 주춤했다"며 "1분기 방역조치 해제로 이들의 소비가 늘었기 때문에 2분기 기저효과가 나타난 데다, 5월 기상 여건도 나빠 대면 활동이 제약받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2분기 코로나19, 독감 환자 수가 1분기보다 줄어 건강보험 지출이 감소했다"며 "연초 방역조치 해제로 방역 관련 정부 지출도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도 각 토목건설과 운송장비 부진으로 0.3%, 0.2%씩 뒷걸음쳤다.

2분기 수출은 반도체·자동차 등이 늘었지만 석유제품·운수서비스 등이 줄어 1.8% 축소됐다. 수입의 경우 원유·천연가스 등을 중심으로 4.2%나 감소했다.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추이. [한국은행 제공]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추이. [한국은행 제공]

1분기 수입 증가로 재고가 쌓인 원유와 천연가스의 수입이 2분기에는 급감했다.

이에 따라 2분기 성장률에 대한 항목별 기여도 분석에서도 순수출(1.3%p)만 플러스를 기록했다. 1.3%포인트(p)만큼 순수출이 2분기 성장률을 홀로 끌어올렸다.

반대로 민간소비, 정부소비, 건설투자는 성장률을 각 0.1%p, 0.4%p, 0.1%p 낮췄다.

업종별로는 농림어업이 재배업을 중심으로 5.5% 증가했고, 제조업도 컴퓨터·전자·광학기기 호조로 2.8% 늘었다. 서비스업 역시 운수업 등 위주로 0.2% 성장했다.

하지만 전기·가스·수도사업과 건설업은 6.0%, 3.4%씩 감소했다.

2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증감 없이 1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실질 GDP 증가(0.6%)에도 불구하고 교역조건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신 국장은 "2분기 0.6% 성장으로 올해 상반기 성장률(전년 동기 대비)은 지난 5월 전망치(0.8%)보다 높은 0.9%로 집계됐다"며 "전망대로 올해 1.4% 성장하려면 3분기와 4분기 각 0.7%가량 성장해 하반기 성장률이 1.7%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매일신문] 김지원기자
kjw9190@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