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KAIST, 대체육 풍미 향상 등 미생물 세포공장 제시
상태바
KAIST, 대체육 풍미 향상 등 미생물 세포공장 제시
  • 대전/ 정은모기자
  • 승인 2023.07.27 17: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네이처 생명공학 리뷰(Nature Reviews Bioengineering) 誌에 논문 게재
KAIST 생물공정연구센터 최경록 연구교수와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가 식품 및 화장품 생산을 위한 미생물의 시스템 대사공학 논문을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KAIST 제공] 
KAIST 생물공정연구센터 최경록 연구교수와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가 식품 및 화장품 생산을 위한 미생물의 시스템 대사공학 논문을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KAIST 제공] 

KAIST 생물공정연구센터 최경록 연구교수와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가 식품 및 화장품 생산을 위한 미생물의 시스템 대사공학 논문을 발표했다.

27일 KAIST에 따르면 이번 논문은 네이처(Nature) 誌가 발행하는 네이처 생명공학 리뷰의 초청으로 준비한 것으로 동료심사를 거쳐 온라인 게재됐다.

시스템 대사공학은 석유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기존의 화학산업을 대체할 바이오산업의 핵심인 미생물 세포공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KAIST 이상엽 특훈교수가 창시한 연구 분야다.

연구진은 시스템 대사공학 전략을 적용함으로써 대체육의 풍미와 색감을 향상할 수 있는 천연물질인 헴철과 아연-프로토포르피린 IX(zinc protoporphyrin IX), 식품과 화장품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 천연 색소인 라이코펜과 베타카로틴, 식품이나 음료 제조 시 포도향을 내기 위해 널리 활용되는 포도 유래 화합물인 메틸안트라닐산 등을 비롯해 다양한 식품 및 미용 화합물을 생산하는 고성능 미생물 세포공장들을 다수 개발한 바 있다.

연구진은 이번 네이처지로부터의 초청 논문을 통해 각종 식품과 화장품에 이용되는 아미노산과 단백질, 지방 및 지방산, 비타민, 향미료, 색소, 알코올, 기능성 화합물과 기타 식품 첨가물 등을 생산할 수 있는 괄목할만한 미생물 세포공장의 개발 사례들과 이러한 미생물 유래 물질들을 성공적으로 제품화해 시장에 공급하고 있는 전세계 기업들을 총망라했다.

보다 다양한 식품 및 미용 화합물들을 친환경적으로 생산하면서도 경제성도 갖춘 산업용 미생물 세포공장의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 대사공학 전략을 정리 및 제시했다.

예를 들어 미생물 발효 과정을 통해 동물의 사료로 이용되거나 비료로 이용되고 있는 비식용 바이오매스 등을 통해 영양학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닌 단백질이나 아미노산을 생산함으로써 전세계 식량 생산량의 증대 및 안정적인 공급에 기여할 수 있다.

또 바닐라 향이나 포도 향을 내는 바닐린이나 메틸안트라닐산은 다양한 식품에 널리 첨가되고 있으나 식물로부터 분리정제한 천연 제품은 생산량이 적고 생산단가가 높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석유화학물질로부터 유래한 바닐린과 메틸안트라닐산을 식품에 첨가하고 있다.

이번 논문의 제1 저자인 KAIST 최경록 연구교수는 “김치나 요거트와 같은 전통 발효식품뿐만 아니라 카카오 콩을 발효시켜야만 얻을 수 있는 초콜릿의 원료인 카카오버터나 미생물 발효를 통해 생산하는 조미료인 글루탐산나트륨처럼 미생물의 도움을 받아 생산한 식품은 이미 우리에게 친숙한 존재”라면서 “앞으로 미생물 세포공장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생산한 더 다양한 종류의 식품과 화장품을 일상에서 더욱 쉽게 마주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과학기술을 활용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것은 공학자의 숙명”이라며 “시스템 대사공학 기술의 꾸준한 발전과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식량 위기와 기후변화를 동시에 해결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연구는 농촌진흥청이 지원하는 농업미생물사업단의 미생물 대사시스템 제어를 통한 무기물로부터의 단백질 생산 기술 개발 과제 (과제책임자 KAIST 최경록 연구교수) 및 과기정통부가 지원하는 석유대체 친환경 화학기술개발사업의 ‘바이오화학산업 선도를 위한 차세대 바이오리파이너리 원천기술 개발’ 과제 (과제책임자 KAIST 이상엽 특훈교수)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전국매일신문] 대전/ 정은모기자 
J-em@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