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금융시장 면밀한 대응책 세워야
상태바
금융시장 면밀한 대응책 세워야
  • .
  • 승인 2016.08.29 13: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한국경제의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재닛 옐런 미국 연준 의장은 최근 와이오밍 주(州) 잭슨홀에서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주최 경제정책회의에 참석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했다. 옐런 의장은 "견고한 고용시장과 미국 경제전망 개선 등의 측면에서도 볼 때 연준은 금리를 인상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며 "최근 몇 달간 금리 인상을 위한 여건이 강화됐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금리 인상 시점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금융시장에서는 연내 금리 인상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평가했다. 미국 연준이 이르면 내달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면서 한국경제에도 어떤 방식으로든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국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신흥 경제국가들에서 외국인 자본 이탈을 초래할 수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른 내외금리 차 축소는 신흥국에 들어와 있는 외국 자본이 빠져나가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지난해 미국의 금리 인상 전망이 확산했을 때도 이런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미국 금리 인상설이 나왔던 작년 6월부터 올해 2월까지 국내 채권, 주식 등 증권시장에서 9개월 연속 외국인 자금이 유출됐다. 유출 규모는 266억 달러(약 30조 원)에 달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설이 구체화한 24∼26일에도 코스피에서 외국인은 순매도 행진을 펼쳤고 주가는 내림세를 보였다.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불안감은 실물경제에도 악재로 작용한다. 미국 금리 인상으로 한국뿐 아니라 중국, 동남아 등 신흥국 시장이 타격을 받으면 우리 기업들의 수출이 위축될 우려가 크다. 수출 감소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경제가 더 어려워지는 것이다.
국내에서도 금리를 올릴 필요가 큰데 이 경우 가뜩이나 침체한 경기를 더 위축시키게 된다. 채무가 많은 기업과 가계의 이자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지난 6월 말 현재 1257조3000억원으로 급증한 가계부채가 큰 걱정거리다. 금리 인상은 가계대출의 부실화를 초래해 금융권과 경제 전체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미국의 금리 인상이 미칠 충격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 장기적으로 우리 경제 체질을 강화해야 하지만 우선은 급격한 외국인 자본 유출입을 막을 수 있게 금융시장을 면밀히 관찰하고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대응책을 세워야 한다.
지난달 말 현재 3714억 달러에 달하는 보유외환, 경상수지 흑자, 한국경제의 기초체력만 믿고 안심해서는 안 된다. 이런 점에서 한국과 일본이 양자 통화스와프 논의를 재개하기로 합의한 것은 다행이다. 비상시에 상대국에 자국 통화를 맡기고 상대국 통화나 달러를 받는 통화스와프는 외환 위기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런 의미에서 지난해 2월을 끝으로 중단됐던 한일 통화스와프 계약을 다시 체결하기로 하는데 합의한 점을 눈여겨 볼만하다. 한일이 윈윈하기 위해서는 경제협력을 정치와 분리하는 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은 과거 외환 위기의 재발을 방지하고 일본으로선 엔화의 국제적 위상을 제고할 수 있어 서로 이득이다. 2011년 700억 달러까지 규모가 늘어났던 양국 통화스와프가 외교 갈등으로 인해 지난해 2월 중단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