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KAIST 신소재공학과 최벽파 연구팀, 하프호이즐러 물질의 나노구조 제어 성공
상태바
KAIST 신소재공학과 최벽파 연구팀, 하프호이즐러 물질의 나노구조 제어 성공
  • 대전/ 정은모기자
  • 승인 2020.11.12 1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왼쪽) 최벽파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 이승훈 경북대 교수 [KAIST 제공]
(왼쪽) 최벽파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 이승훈 경북대 교수 [KAIST 제공]

KAIST 신소재공학과 최벽파 연구팀이 경북대 이승훈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준 안정상을 활용, 하프호이즐러 열전재료의 나노구조를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열전 소자는 열에너지를 전기로 직접적으로 변환시키는 에너지 소자다. 소자의 양단에 온도 차가 존재할 때 내부의 전하가 이동함으로써 전기를 발생시킨다. 좋은 열전재료가 되기 위해서는 소자 양단의 온도 차는 오래 유지돼야 하고 전하는 잘 이동해야 하므로 열전도도는 낮아야 하고 전기 전도도는 높아야 한다.

다양한 열전재료 중 하나인 하프호이즐러 물질은 폐열이 풍부하고 중온 영역에서 높은 효율의 열전발전이 가능하다.

특히 열 안정성과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높은 제벡 계수와 출력 계수를 지니고 있는데 독성이 없고 지구에 풍부하게 매장된 원소로 이뤄져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열전도도로 인해 낮은 열전성능을 갖는다는 점이 약점이다.

열 전도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포논의 산란을 극대화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서로 다른 상의 경계를 만든 후 나노 결정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존에는 하프호이즐러 합금을 제조한 뒤 물리적으로 파쇄해 나노분말을 제조하고 이를 가열해 굳히는 방법을 사용해왔다.

이 방법은 나노결정의 크기 제어는 물론 복잡한 미세구조 형성이 어렵기 때문에 열전도도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연구팀은 문제해결을 위해 준 안정상(비정질)의 결정화 방법을 활용했다. 준 안정상은 안정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안정한 상을 의미하는데 열처리를 통해 안정상으로 쉽게 상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때 열처리 온도에 따라 준 안정상의 결정화 거동은 다양하게 변화하고 이를 이용해 나노결정의 크기와 상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구팀은 급속냉각 공정을 이용해 하프호이즐러 조성을 가진 비정질을 제조한 뒤 비교적 저온에서 짧은 열처리를 통해 하프호이즐러 물질 내부에 풀호이즐러 나노 석출물이 존재하는 복잡한 나노구조를 만들었다.

연구진이 새로 개발한 이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고온에서의 장시간의 열처리가 필요 없으므로 쉽고 경제적이면서도 더욱 복잡하고 세밀한 나노구조의 형성이 가능하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 3차원 원자 탐침 현미경과 투과 전자 현미경을 활용했는데 하프호이즐러 물질 내부에 존재하는 수 나노미터의 풀호이즐러 석출물의 존재를 규명하는 데도 성공했다.

 

[전국매일신문] 대전/ 정은모기자
J-em@jeonmae.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