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부산시 산업지도, '미래 신산업' 중심으로 개편 
상태바
부산시 산업지도, '미래 신산업' 중심으로 개편 
  • 부산/이채열 기자
  • 승인 2023.11.01 11: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역별로 디지털·친환경 중심의 미래 신산업 5대 혁신클러스터 조성 
-신산업 멜팅팟(Melting Pot, 용광로)으로 새롭게 도약 중

부산의 산업지도가 권역별 혁신클러스터가 빼곡히 그려지며, 미래 신산업을 중심으로 새롭게 바뀌고 있다. 

과거 대한민국의 성쇠를 이끌었던 서부산권 제조업과 동부산권 해운대·센텀의 관광·정보통신(IT) 산업이 부산 산업지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면, 이제는 디지털과 친환경이라는 새로운 색으로 곳곳이 새롭게 덧칠되고 있다.
 
동부산-원도심-서부산 곳곳에서 기존 주력 산업과 연계한 미래산업 혁신클러스터가 새롭게 조성·확장되고 있으며, 클러스터별 산업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신산업의 멜팅팟(Melting Pot, 용광로)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다.

부산 전역에 새롭게 그려지고 있는 신산업 5대 혁신클러스터는 글로벌 ‘그린스마트 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친환경 기술개발과 디지털 전환 중심의 미래 핵심 신산업으로 이루어져 있다는게 부산시의 설명이다.
 
특히, 지역별로 뚜렷한 개성을 지닌 산업군을 더욱 고도화하고, 주변의 지리적 이점과 연계한 첨단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집적화한 것이 큰 특징이다.
 
1일 부산시에 따르면 신산업 5대 혁신 클러스터는 동부산, 원도심, 서부산 3지역으로 나눠 각각 마운틴밸리, 수영강벨트, 스타트업벨트, 부스트벨트, 낙동강벨트로 구성돼 있다.

부산시 권역별 혁신클러스터.[부산시 제공]
부산시 권역별 혁신클러스터 조성안.[부산시 제공]

먼저, 동부산권은 기장군 쪽으로 북동진하며 전력반도체, 이차전지 등 부산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새롭게 창출함과 동시에 디지털 혁신도 지속해 나가고 있다.

기장권역의 방사선의과학·이-파크(E-Park) 산업단지들은 ‘마운틴 밸리’로서 전력반도체, 이차전지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산단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금양, ㈜에스티아이 등 우수기업의 신산업 투자도 연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방사선의과학산단은 전력반도체 소부장 특화단지로 지정돼 8천억 원 규모의 민간투자 등 7조 원 대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포화상태에 있는 센텀시티로부터 시작해 유니콘타워와 센텀2지구를 잇는 ‘수영강 벨트’는 확장현실(XR), 메타버스 등 기존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의 고도화와 센서·로봇 등 디지털 하드웨어의 거점으로 성장하고 있다.

다음, 서면-문현-북항-영도를 잇는 원도심권은 도심형 친수공간으로 청년창업 특화 공간이자, 스마트 금융과 해양신산업 거점으로 새롭게 거듭나고 있다. 
 
서면·부산역·북항 등의 높은 접근성을 가진 지역을 바탕으로 ‘스타트업 밸리’가 착착 구축되고 있으며, 민간 주도 ‘개방형 혁신창업타운’, ‘그린 스타트업 타운’ 등 청년창업 디지털 허브 조성도 본격 추진되고 있다.
 
또한, BIFC·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디지털자산거래소 추진 등으로 문현금융단지는 국내를 넘어 아시아를 대표하는 글로벌 금융특구로 성장하고 있다.
 
2030부산세계박람회 개최예정지인 북항과 영도 일원은 ‘부스트 벨트’로 해양·수산 빅데이터, 초소형위성, 해양 도심항공교통(UAM) 등 해양신산업은 물론이고, 바다를 활용한 체류형 워케이션 특화 관광지로도 본격 개발되고 있다.

마지막, 서부산권은 사상-장림-에코델타시티를 잇는‘낙동강 벨트’로 스마트 제조업이 특화돼 있으며, 에코델타시티(EDC)를 중심으로 바이오·미래모빌리티·클라우드 등 첨단 연구개발(R&D) 산업의 메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들도 이러한 부산시의 노력에 화답하고 있는 분위기다. 신산업 중심 우수 기업의 부산행 돌진(러시)도 본격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에는 3조 원이라는 역대 최대의 투자유치 실적을 달성했으며, 올해는 이미 3.9조 원 이상의 투자유치를 달성해 역대 최대 투자유치 실적 달성이 확실시된다.

중앙정부의 다양한 경제특구·지구 지정도 부산시의 새로운 산업지도 개편에 든든한 지원군이 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윤석열 정부의 야심작인‘기회 발전특구’와 국토교통부의‘도심융합특구’가 그것이다. 

신산업 중심 산업지도 개편의 미래는 더욱 밝다. 새로운 산업지도가 지속하며 양적·질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씨앗인 우수 인재가 ‘지산학’협력으로 계속해서 양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클러스터별 산업 고도화와 부산형 차세대 먹거리 발굴을 위한 부산시의 노력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것도 고무적으로 평가된다. 5년 주기의 ‘부산시 전략산업’을 새롭게 개편하고 있고, 미래 부산 성장을 견인시킬 ‘부산형 미래 첨단산업’ 발굴·육성방안도 집중적으로 논의하며 하반기 구체적 결과 도출에 노력하고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권역별 혁신 클러스터는 기업·기반시설 중심의 하드웨어와 인재·기술 중심의 소프트웨어가 유기적으로 결합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신산업 발전소가 될 것이다”라며“가마솥(釜)이라는 부산의 명칭에 걸맞게 이른 시일 내 청년과 인재와 기업이 부산이라는 가마솥 안에서 바글바글하며 펄펄 끓어 넘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