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문제열의 窓] 프랑스 농업에서 배워야 할 점
상태바
[문제열의 窓] 프랑스 농업에서 배워야 할 점
  • 전국매일신문
  • 승인 2021.11.23 09: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제열 국립한경대학교 연구교수

프랑스는 지형이 평탄하고 다양한 기후대를 바탕으로 비옥한 토양을 갖고 있어 역사적으로 유명한 곡창지대가 많다. 유럽의 대표적인 농업 생산국가로 지금도 EU 여러 나라에 대한 식량공급국으로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전체 농경지 면적은 약 2700만 ha로 프랑스 영토의 54%를 차지한다. 농업 인구는 90만 명 정도로 전체 인구의 1.5%이며 평균연령은 50세다. 기계화 중심의 대규모 통합농업경영을 한다. 주요 농산물은 밀·보리·옥수수·감자·사탕무·포도주·낙농제품 등이다. 사탕무와 포도주 생산은 세계 1위이다. 국토의 25%가 목초지로 소와 말 사육을 비롯한 축산업도 활발하다. 2017년 농식품 수출액은 480억 유로로 미국에 이어 세계 제2의 농식품 수출국이다.

프랑스는 1924년 일찍이 농업․농촌부흥을 위해 ‘농업회의소’를 출범시켰다. 농민들의 의견을 가감 없이 전달하는 통로이다. 농업회의소는 전국 94개 도 농업회의소를 기초조직으로 한다. 지역의 소비자·농민단체 관계자는 물론 농식품 가공업체 종사자도 참여한다. 농업회의소는 농정자문, 정책자금 지원 대상 심의․선정, 농가기술지도, 농업전문 직업훈련, 조사연구, 농촌개발, 농촌관광 등 광범위한 사업을 수행한다. 도 농업지도위원회는 농업기본법에 따라 5년마다 지역 실정에 맞는 농업발전계획을 수립한다.

프랑스의 관광농업은 1950년대부터 관광지 주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은퇴를 앞둔 농민이나 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노후 대비를 위한 활동으로 시작했다. 1980년대 초부터 도시의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여가활동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그린투어리즘(green tourism)이 농업활동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체류형 농가민박 사업이 활성화됐다. 전국 어디에나 농촌관광 민박농가가 있고, 관광자원이 부족한 지역 가운데 농촌관광으로 성공한 곳도 많다. 국민 5명중 1명이 1년에 하루 이상 농촌관광을 한다. 농촌관광은 전체 관광매출액의 20%를 차지하고, 농촌 숙박일수는 프랑스 전체 관광 숙박일수의 29%에 달한다.

농촌관광업을 겸업하고 있는 농가는 전체 프랑스 농가 66만 가구의 2.6%에 해당하는 1만7600여 가구다. 프랑스 정부는 농촌관광사업을 농업 활동으로 인정해 이들에게 세제상 우대 조치와 저리융자 지원을 한다. 또 농촌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경제사정이 어려운 사람들이나 학생, 장애인들이 농촌에서 휴가를 보낸 경우 휴가비 전액을 사후에 정부가 지원한다. 농수산부·환경부·관광부·국토개발청 등 관련 부처 간 농촌관광 상설협의 기구가 있어 농촌관광에서 제기되는 애로사항은 범정부적 차원에서 지원하고, 문제를 해결한다.

이런 프랑스가 2011년 도시와 농촌을 먹거리로 연결하는 O2O(Online To Offline) 플랫폼인 푸드어셈블리를 개설했다. 푸드어셈블리는 대량생산 및 대량유통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가치가 있는 먹거리를 연결해 준다. ‘선주문 후픽업’ 방식이기에 생산자로서는 재고부담이 없고, 소비자는 온라인으로 미리 주문한 곳에서 농산물을 가져가면서 생산자를 만나기도 한다. 소비자는 신선한 농산물을 시중보다 30%내외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지역공동체 중심의 짧은 유통에 주력하며 건강한 먹거리를 유통하는 지역공동체시장이다.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물, 즉 로컬푸드 유통의 새로운 모델이 되었다. 지금은 벨기에, 스페인, 영국, 이탈리아, 독일, 네덜란드, 덴마크, 스위스로 확산되었다. 매주 유럽 전역 1200여개 공동체에서 8000명의 생산자와 17만 명의 소비자들이 장터에서 만나고 있다.

프랑스는 지금까지 농민이 주체가 돼 농업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정부가 과감하게 지원해 식량의 안정적 확보를 이룩했다. 정부가 앞서서 방향을 정하고 이끌어가는 우리 방식과는 사뭇 차이가 있다. 농업정책은 반드시 지역농업의 관점에서 출발해야한다. 각 지역의 자연적 조건, 역사적 전통, 사회경제적 조건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지역 농민이 주체가 되어 농업계획을 수립하고, 정부가 이를 지원하는 새로운 농업정책 패러다임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전국매일신문 칼럼] 문제열 국립한경대학교 연구교수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