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매일신문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지방시대
지면보기
 표지이미지
[최재혁의 데스크席] 좋은 인연이란
상태바
[최재혁의 데스크席] 좋은 인연이란
  • 최재혁 지방부국장
  • 승인 2022.08.25 11: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재혁 지방부국장

누군가 물었다. 당신 삶에서 ‘좋은 인연’을 꼽으라면 누구를 꼽겠는가? 하고. 묻는 이에게 대답은 못했지만 스스로 돌아보는 계기는 됐다. 우선 가족이다. 뭐니 뭐니 해도 가족만큼 귀하고 소중한 인연이 어디 있을까. 내가 전적으로 선택한 것 같지만 ‘억겁’의 인연이 닿아야 만나진다는 부부의 연(緣)과, 천륜이라 일컫는 부모자식간의 연, 피를 나눈 형제자매들의 연이 그렇다. 그런데 실제 알고 보면 가족 못지않게 때로는 가족보다 더 귀한 인연으로 맺어진 만남도 숱하게 많은 게 사실이다.

인연에는 우연(偶然)과 필연(必然)있다. 우연은 말 그대로 우연한 기회로 인연이 되는 것이다. 생각지 않게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든다면 오늘 하루 스쳐간 사람들의 숫자와 그들의 표정이나 옷 또는 길가의 돌 등은 우연이라는 이름으로 만난 것들이다.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와 같이 우연적인 현상들은 이유를 모르기 때문에 우연의 범주에 들어간다.

필연도 말 그대로 반드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나름대로 이유가 있고 이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면 그것은 필연이다. 예를 들면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동시에 오랜 세월동안 한 치의 예외도 허용하지 않은 뉴턴의 ‘운동의 제2법칙’이라든가,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는 필연적인 현상들이다.

필연은 자기에게서 나오는 것이지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사물을 보는 관점이며 관법이고 세상 이치를 이해하는 방식이다.우연이란 어떤 조건 아래에서 생겨 날 수도 있고 생겨나지 않거나 또는 다양한 일이 생길 수 있는 것이고 필연은 일정한 조건에서 반드시 생겨나는 것을 말한다. 우연은 자유고 필연은 운명이라는 철학적 화두다.

‘인연’하면 불교에서 말하는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란 말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인(因)이란 결과를 만들어내는 직접적인 힘을 말하고, 연(緣)은 그것을 돕는 외적이고 간접적인 힘이라고 한다. 다른 말로하면 꽃이 피는 것은 씨앗이라는 ‘인’에 땅과 물과 바람과 햇빛이라는 ‘연’이 만난 결과라는 것이다.

‘범망경’에는 선근인연(善根因緣)이란 말이 나오는데 전생에 좋은 과보를 맺은 사람과의 만남을 겁(劫)으로 표현하고, 1겁의 시간은 물방울이 떨어져 집 한 채만한 바위를 없애는데 걸리는 시간이라고 하며, 힌두교에서는 43억2,000만년을 1겁이라고 한다니 좋은 인연을 만난다는 것은 얼마나 귀한 일인지 모르겠다.

‘인연경’에는 오백겁의 인연이 있어야 옷깃이 한번 스치고, 7,000겁의 인연이 있어야 부부의 인연이 맺어진다고 했으며, ‘잡아함경’에는 겁에 대해 1유순(由旬), 약 15Km쯤 되는 철성(鐵城)안에 겨자씨를 가득 채우고 100년마다 한 알씩을 꺼낸다. 이렇게 겨자씨를 모두 꺼내도 1겁이 끝나지 않는다 했고, 사방이 1유순이나 되는 큰 바위를 100년마다 한 번씩 흰 천으로 닦아서 그 돌이 모두 닳아 없어진다고 해도 1겁은 끝나지 않는다고 하니, 한 겁이 이러할진대 무려 7,000겁의 인연으로 맺어진 부부의 인연이란 얼마나 깊은 것인가?

1,000겁에 한나라에서 태어나고, 2,000겁에 하루 길동무가 되며, 3,000겁에 하룻밤을 한집에서 보낸다. 4,000겁에 한민족으로 태어나고, 5,000겁에 한동네에서 살며, 6,000겁에 하룻밤을 같이 잔다. 7,000겁에 부부가 되고, 8,000겁은 부모와 자식이 되며, 9,000겁은 형제자매가 되고, 1만겁은 스승과 제자가 된다고 한다. ‘범망경’은 부모와 형제자매의 인연보다 1만겁을 잇는 스승과 제자의 인연이 더 귀하다고 했는데, 육신은 부모로부터 받지만 마음을 바로잡는 진정한 깨우침은 참된 스승의 올바른 가르침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모든 결과에는 원인이 있다. 지금 이 순간의 인연을 귀하게 여겨야하는 이유다. 아무리 작은 모래알도 그냥 물에 던지면 모두 가라앉는다. 그러나 아무리 큰 바위라도 배에 실으면 가라앉지 않는다. 부처님의 가르침인 지혜의 배를 반야선(般若船), 범어로는 프라즈나(Prajna)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인간이 진실한 삶의 의미를 깨달았을 때 얻어지는 근원적 지혜를 말한다.

사람이란 누구를 만나는가에 따라 ‘무술’이가 ‘왕비’가 되기도 하고, ‘왕비’가 ‘무술’이가 되기도 한다. 세상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모두가 저마다의 인연을 가지고 살아가지만 ‘인연’하면 빼놓을 수 없는 애틋한 인연도 있다. 영문학자요 수필가인 피천득 선생님이다. 나는 선생님의 일본 유학시절 하숙집 딸 ‘미우라 아사코’와의 세번 만남과 헤어진 첫사랑 이야기를 잊지 못한다.

풀잎에 맺힌 아침 이슬처럼 영롱한 가슴 시리도록 아련한 사랑 이야기다. 첫사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했던가? 세 번째 만났을 때 아사코는 결혼을 해서 한 남자의 아내가 되어 하숙하던 부모님의 집 근처에 살더라고 했다. 선생님은 그 모습을 보고 돌아와 적잖이 가슴앓이를 했던 것으로 보였다. 그의 수필집 ‘인연’에는 이렇게 씌어있었다. 세 번째 만남은 없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어리석은 사람은 인연을 만나도 몰라보고, 보통 사람은 인연인줄 알면서도 놓치고, 현명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옷깃만 스쳐도 인연을 키워간다. 지난 5월8일이 부처님 오신 날(석가탄신 일)이다. 꼭 불자가 아니어도 인연의 소중함을 가슴에 되새겨봄 직하지 않은가?

내가 삶을 살아가면서 마주치는 사람들은 전 세계 60억의 인구를 감안했을 때 결코 많은 수가 아니다. 오늘 마주쳤던 사람들과 내일 또 만나고 그 사람들을 다음 날 또 만나게 된다. 우리가 새롭게 알게 되거나 관계를 맺게 되는 사람들은 그다지 많지 않은 것이 우리의 삶이고 이것이 수학적 계산의 결과이다.나는 이러한 상상을 통해서 ‘인연’이라는 말을 새롭게 정의하고 싶어졌다.

인연이라는 말은 굉장히 흔히 사용되는 어휘이지만 과연 우리들은 인연이라는 말에 대해서 진정으로 깊이 있게 들여다 본 적이 있었던가? 사전적인 정의로는 사람들 사이에 맺어지는 관계를 의미하는 ‘인연’이라는 단어는 실제적으로 더 깊은 의미를 갖는다. 내가 어제 장난처럼 던졌던 동료의 외모에 대한 비난과 냉소는 그러한 인연을 가볍게 봤던 행동이었다. 이 글을 읽는 누군가가 언젠가 비난의 대상으로 삼았던 또 다른 누군가는 우리의 인연이었고 당신의 행동은 그 인연을 가볍게 생각해 버린 결과였다.

혜민 스님은 이런 말씀을 남기셨다. “좋은 인연이란 시작이 좋은 인연이 아닌 끝이 좋은 인연입니다.” 작은 인연이더라도 상대방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 내 호의를 보여준다면 그들 또한 내가 보여준 작용에 대한 반작용을 보여줄 가능성은 매우 높다. 또한, 계산하고 행동하는 것은 도의적이지 않아 보일 수 있겠지만 상냥하고 친절한 사람으로 기억되어 훗날 그가 내게 적절한 도움이 된다면 경제적으로도 매우 남는 장사가 아니겠는가?

우리가 일평생 마하는 많지 않은 사람들 속에서 나와 생각이 같지 않다고, 나와 추구하는 가치관이 다르다고, 내가 생각하기에 약간은 나보다 부족하다고 해서 그들에게 상처를 주고 업신여기는 태도를 가진 사람은 인연에 대한 학습이 부족한 사람이다. 확률적으로 이렇게 큰 의미를 갖는 인연을 우리는 그 동안 너무 등한시 하지 않았는지, 오늘은 다들 자신을 반성하고 앞으로의 인연에 대해서도 더욱 진중한 자세를 가지고 임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우연이나 필연이나 모든 인연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전생의 업을 녹여야 한다. 나이를 먹을수록 늙어갈수록 지금까지 만난 인연에 감사해야 한다.

[전국매일신문] 최재혁 지방부국장
jhchoi@jeonmae.co.k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